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글로벌정치

속보

더보기

[아베 가문의 흑막] ⑤ 아베는 이토 히로부미 '적자', '야마구치 정권' 끝나나

기사입력 : 2022년07월18일 14:38

최종수정 : 2022년07월19일 15:28

일본 정치는 사람의 추동력 아닌 철저한 파벌 중심
이토 히로부미·기시 노부스케가 안배한 '야마구치 막부' 파벌은 존속 가능성 커

[편집자]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사망함으로써 한일관계에 중대한 변화가 예상된다. 아베의 사망은 단순히 일본 보수우익 아이콘이 사라졌다는 사실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일본 자민당 최대 파벌 아베파와, 이의 지지로 자리에 오른 현 기시다 수상은 기존의 아베 노선을 따를 가능성이 높다. 더구나 최근 참의원 선거에서 개헌선을 확보함으로써, 아베의 필생 숙원이었던 평화헌법 개헌론이 일본 정가를 점차 뜨겁게 데우고 있다. 일본은 과연 과거 군국주의로 회귀하는가. 일본 정가의 풍향계를 전망하기 위해서는 아베 가문과 아베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이에 아베 가문과 일본 정치사의 흑막을 알아보는 시리즈를 연재한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부국강병(富國強兵), 군국주의 일본의 기틀을 마련한 기반이 1868년 메이지유신(明治維新)이라는 사실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메이지유신의 성격을 간단하고 쉽게 정리하자면, 당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막부의 170여개 번 가운데서 조슈(長州)와 사쓰마(薩摩), 사가(佐賀), 도사(土佐) 4개 번(藩)의 하급 사무라이들이 뭉쳐 상급 사무라이들의 세상을 끝내고자 도모한 쿠데타다. 조슈는 오늘날 야마구치(山口) 현, 사쓰마는 가고시마(鹿児島), 사가는 사가, 도사는 시코쿠(四国) 섬의 고치현(高知県)이다. 

그런 메이지유신 성공의 최대 요인은 조슈 번과 사쓰마 번이 서로 힘을 합친 '삿초동맹(薩長同盟)'이다. 사가 번은 이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했고, 도사 번은 나중 '밥상이 다 차려진 뒤 숟가락만 얹은' 것으로 역할이 미미하다. 유신파가 득세한 이후, 최대 수혜자는 당연히 조슈 번과 사쓰마 번이 됐다. 그중에서도 조슈 번 핵심들의 출세는 눈이 부실 정도다.  

야마구치에서는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1841~1909)를 필두로 육군 대장에 총리를 지낸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 1838~1922), 총리 시절 러·일전쟁을 승리로 이끈 가쓰라 타로(桂太郎, 1848~1913), 조선 총독과 총리를 지낸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内正毅, 1852~1919) 이후 기시 노부스케, 사토 에이사쿠, 아베 신조까지 무려 9명의 총리가 나왔다. 일본 전체 번(藩)으로 보자면 170여 개 중의 하나, 현(縣)으로 따져도 43개 중의 하나에 불과한 시골에서 말이다.

[아베 가문의 흑막] 글싣는 순서

1. 재일교포가 아베 父子를 키웠다 
2. 아베 가문과 통일교의 유착
3. 칼맞은 외할아버지와 총맞은 아베의 평행이론
4. 日 역사 교과서 왜곡, 아베로부터 비롯됐다
5. 아베는 이토 히로부미 '적자', '야마구치 정권' 끝나나
6. 日 평화헌법 개헌될까...한일 관계의 미래

게다가 아베와 이토, 가쓰라, 사토 네 명은 최장수 총리 1위부터 4위를 모조리 차지한다. 어느 지역보다 야마구치 출신 총리들이 가장 오랜 기간 총리 자리에 앉아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메이지유신 이후 최근 아베의 사망까지 일본은 사실상 '야마구치 막부'가 계속 유지돼왔던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아베가 총리 사임 이후에도 계속 상왕 노릇을 하며 후임 총리 인선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해왔기에 더욱 그렇다.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조선 침략의 추동력으로 육군뿐 아니라 정계와 관계를 오랫동안 주무른 실권자였다. 그는 육군의 기초를 만든 군정가로서 '조슈 파벌'을 이끌던 '군벌의 시조'이기도 했다.

1894년 여름 일본군이 서울에 들어와서 도성을 장악하고 경복궁을 침략했을 때 이토 히로부미는 내각의 총리를 맡고 있었다. 청일전쟁이 일어나자 야마가타는 제1군사령관으로 전선에 나왔다. 이토가 조선을 집어삼키는 한일병탄의 기획자라면, 야마가타는 이를 충실히 실행에 옮긴 집행자였다. 같은 고향 출신이 번갈아가며 한반도 유린의 최선봉에 서 있던 것이다.

물론 일본 침략정책의 꼭대기에는 요시다 쇼인이 있다. '오키나와를 집어먹고, 조선을 속국으로 만들며, 만주와 대만 그리고 필리핀을 침략한다'는 구상은 모두 요시다 쇼인의 「유수록(幽囚錄)」에서 비롯되었다. 이토와 야마가타는 요시다가 만든 사학 '쇼카손주쿠(松下村塾)'에서 그런 꿈을 전해 받은 지 꼭 37년 후인 1894년에 실제로 조선침략을 감행했다. 이후 군국주의 길로 더 나아가 아시아에 처절하고도 심대한 고통을 주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이토 히로부미를 비롯해 조선 병탄의 핵심 인물들을 키워낸 요시다 쇼인의 사학 '쇼카손주쿠(松下村塾)'. 야마구치 권력의 핵심 장소로, 벽면에 메이지유신의 중심 인물들 사진이 걸려 있다. [조용준 사진] 2022.07.18 digibobos@newspim.com

이토는 1885년에 만 44세를 겨우 넘긴 나이로 총리가 된 후 4차에 걸쳐 7년 반 가까이 장수한 총리였고, 야마가타는 핵심 군직을 돌려 맡은 후 2차에 걸쳐 3년 여 동안 총리로 지냈다. 하급무사에서 비약 출세한 메이지 권력은 출신 성분으로 인해 유럽의 귀족들이 부러웠던 듯하다. 그래서 1884년 화족령을 제정하고, 화족(華族)이라고 부르는 귀족, 서민이 넘볼 수 없는 특권 세습계급을 운영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세 명의 군벌 총리. 왼쪽부터 야마가타 아리토모, 야마가타 실각 후 내각을 이어받은 사쓰마 출신의 마쓰카타 마사요시(松方正義), 그 다음이 조선 총독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 야마가타와 데라우치는 조슈 번(야마구치) 출신이다. 2022.07.18 digibobos@newspim.com

메이지 시기에 모두 4개 가문이 새롭게 공작이 되었다. 바로 조슈 출신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 가쓰라 타로와 사쓰마 출신인 오오야마 이와오(大山嚴, 1842-1916) 육군 참모총장 가문이다. 조슈 번에서 3개, 사쓰마 번에서 1개다. 메이지유신에 절반의 지분을 가진 조슈와 사쓰마이지만, 이미 그때부터 사쓰마는 조슈에 밀리기 시작했다.

총리 출신 아베의 두 외할아버지 기시 노부스케와 사토 에이사쿠, 그리고 이토 히로부미는 고향이 같다. 야마구치의 조그만 마을 다부세(田布施)라는 곳이다. 이토의 출생지는 정확하게는 쓰가리손(束荷村)이지만, 다부세에서 차로 10여분 거리로 매우 가깝다.

일본 정가에는 '다부세 시스템(田布施システム)'이라는 말이 있다. 공식 용어는 아니고, 은밀히 돌아다니는 속설 같은 단어다. 그것은 바로 이토가 150년 전에 안배한 권력의 원천, 이토-기시 노부스케-아베 신조로 이어지는 '야마구치 시스템'을 통칭한다. 이들은 모두 요시다 쇼인을 제일 존경하고, 그의 정한론에 묶여 있다. 아베는 이토 히로부미를 계승하는 사실상 적자(嫡子)다.

이제 아베가 사망함으로써, 일본 극우와 야마구치 권력의 아이콘이 사라졌다. 그러면 '야마구치 막부'는 이대로 종식되는 것일까? 이토 히로부미로부터 시작된 야마구치 권력, '다부세 시스템'은 무너지는 것일까?

정답은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다'이다. 왜냐하면 일본 정치는 특정인의 힘에 의해 추동력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철두철미한 파벌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다. 일본 정가 '나가타초(永田町)'를 현재 사실상 지배하고 있는 파벌은 아베파가 아닌 '세이와정책연구회(清和政策研究会)'라는 파벌이다. 이 파벌은 창립 초기부터 친미를 기조로 하면서도 자주헌법론·헌법개정론을 주창하고 재군비에 적극적인 등 매파색이 강했다.

그런데 이 세이와연구회를 만든 사람이 누구냐. 바로 아베 외할아버지 기시 노부스케다. 따라서 아베가 세이와연구회의 지원 속에 일본 최장수 총리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세이와 파벌의 영향력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사건이 있다. 그것은 사쓰마 번, 즉 가고시마 출신인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 1942~) 전 총리 추천으로 아베가 모리 요시로(森喜朗, 1937~) 총리 시절에 내각관방 부장관에 임명된 사실이다. 내각관방은 총리 비서실 겸 내각 대변인실로 총리 집무실 바로 옆방에 사무실이 있으며, 총리를 총괄 보좌해서 내각의 조정 업무를 담당한다. 대변인이자 얼굴마담으로 언론에도 매일 나오기 때문에 유권자들에게 자신의 얼굴을 알릴 수 있는 최고의 기회다. 따라서 보통 차세대 에이스들이 관방장관으로 경험을 쌓은 뒤에 총리가 되는 경우가 많다.

사쓰마 출신의 고이즈미 전 총리가 아베를 내각관방 부장관에 앉힌 것은 사실상 '제2의 삿초동맹'이라 할 수 있다. 고이즈미는 총리가 된 다음 아베를 관방장관으로, 급기야는 2003년 자민당 간사장에 앉힌다. 이는 엄청난 파격이다. 간사장은 최소 7선 의원부터 가능한 자리이기 때문이다. 자민당 내부에서는 파벌간의 불협화음을 방지하기 위해 관례적으로 '당선횟수주의'를 철칙처럼 여기는데도 고이즈미는 이를 깨고 아베를 중용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당내 기반이 취약한 고이즈미가 세이와연구회의 지원을 얻기 위해 아베와 손을 잡은 것이다. 아베는 당시 3선으로 고작 정무차관 급에 불과했는데도 이런 벼락출세를 한 것이니, 나가토초에서 파벌의 영향력이 얼마나 절대적인지 알 수 있다.

고이즈미는 21세기 최초로 장기 집권을 한 총리로 그에게 자민당 총재 배턴을 이어받은 사람이 바로 아베 신조다. 아베와 고이즈미의 '동맹'은 아베가 총리가 된 다음에도 이어졌다. 아베가 고이즈미의 차남 고이즈미 신지로(小泉進次郎, 1981~)를 2019년 9월 자신의 제4차 내각에서 환경대신으로 발탁한 것이다. 매우 '특별한' 주고받기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왼쪽 사진은 2001년 고이즈미 총리가 아베를 관방장관으로 임명할 때의 모습. 오른쪽 사진은 2019년 아베 총리가 고이즈미 전 총리의 아들 고이즈미 신지로를 환경장관으로 임명할 때의 모습. 아베를 관방장관과 자민당 간사장에 앉힌 고이즈미의 파격 인사는 제2의 '삿초동맹'이라 할 수 있다. 2022.07.18 digibobos@newspim.com

고이즈미 신지로는 조금 모자란 게 아니냐는 생각이 들 정도로 황당한 발언을 여러 차례 거듭해서 조롱을 받고 있다. 그를 단번에 '구설수 스타'로 만든 것은 환경정책과 관련한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고이즈미 : "기후 변화에 대해서 펀(Fun)하고 쿨(Cool)하고 섹시(Sexy)하게 대처해야 한다."

기자 : "그게 어떤 대처입니까?"

고이즈미 : "그걸 설명하는 것 자체가 섹시하지 않네요"

정말 황당하기 짝이 없다. 내각제의 일본에서 성공하는데 있어 정치인으로서의 자질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그가 누구 자식이냐, 어느 파벌이냐가 가장 중요하다.

그런데 아베는 치명적인 실수를 했다. 그것은 바로 자신의 후계자 즉 '2인자'를 키우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아베가 총리에서 물러나고 사실상 후임으로 지명한 스가 요시히데 전 총리는 2인자가 아니다. 그는 아베 1차 정권에서는 총무상, 2차 정권에서는 2인자가 되는 관방장관을 7년 8개월간 지내며 아베와 찰떡 호흡을 자랑했지만, 아베가 총리 자리를 잠시 맡겨놓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지금 총리인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도 마찬가지다. 그는 자민당에서 정조회장을 맡아서 본인이 할 수 있는 일이 많았는데도 존재감이 굉장히 약했고, 파벌도 그렇다. 그런 그를 굳이 아베가 지원한 것은 그 역시 잠깐 동안의 대리인이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아베는 언제고 또 다시 총리에 복귀할 생각이었겠지만, 하늘은 그의 뜻대로 움직이지 않았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2020년 9월 자민당 총재 경선 장면. 중앙은 아베, 오른쪽은 스가 전 총리, 왼쪽은 기시다 현 총리. 아베가 상왕이었음을 여실하게 보여주는 장면이다. [사진=호치신문(報知新聞社)]  2022.07.18 digibobos@newspim.com

아베가 없는 세이와연구회는 어떻게 될까. 내부의 치열한 각축전은 이미 시작됐다. 어쩌면 일 년에 한번씩 총리가 바뀔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파벌 자체가 분열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야마구치 시스템에 의한 자민당 최대 파벌은 여전히 잘 굴러갈 것이다. 그게 바로 내각제 일본 정치다. 이토 히로부미가 원류인 '야마구치 막부'가 무너지려면 아직도 많은 세월이 필요하다.  

digibobos@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재계 총수들, '트럼프 Jr' 만남 총출동 [서울=뉴스핌] 서영욱 남라다 김아영 조민교 기자 = 30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려는 재계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내 사업 현안을 전달하고 정책적 협력을 요청하기 위한 행보다. 트럼프 주니어와 재계 인사들의 면담은 트럼프 주니어가 묵고 있는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호텔의 한 구역에서 열렸다. 트럼프 주니어를 초청한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집무실이 있는 건물이다. 건물 주변에 많은 취재진이 대기 중이지만, 철저한 보안으로 인해 오고 가는 재계 인사들을 마주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30일 오전 트럼프 주니어가 묵고 있는 서울 강남구의 한 호텔 인근 커피 매장에서 포착된 김동선 부사장(왼쪽)과 김동원 사장 [사진=독자 제공] 이날 오전 한화그룹의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 3형제가 트럼프 주니어를 만난 재계 인사 중 가장 먼저 언론에 포착됐다. 한화솔루션은 미국 조지아주에 태양광 모듈 일관 생산단지 '솔라 허브' 프로젝트를 조성 중이다. 연간 8.4GW 규모의 이 시설은 약 130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현지 생산 비중을 70%까지 높여 미국의 자국 우선 조달 정책에 대응하고 관세 부담도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한화그룹은 방산·조선 사업에서도 미국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최근 호주의 방산 조선업체 오스탈 지분을 확보하며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 상황이다. 오스탈은 앨라배마와 샌디에이고에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 해군 소형 수상함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롯데그룹도 트럼프 주니어와의 접촉에 나섰다. 신동빈 회장과 인도네시아 출장에 나섰던 장남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부사장은 이날 오전 귀국해 트럼프 주니어를 만났다. 롯데는 미국 뉴욕 시러큐스에 보유한 바이오 공장을 중심으로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시아 바이오기업과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임상 물질 생산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공장에서 첫 양산이 이뤄질 예정이다. 미국 내 관세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 설비 확충과 고객사 확보에 나선 롯데는, 신 부사장을 통해 트럼프 주니어와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29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해 탑승기에서 내리고 있다. 2025.04.29 choipix16@newspim.com 이재현 CJ그룹 회장도 이날 트럼프 주니어와 비공개 개별 면담을 가졌다. CJ제일제당은 미국 중서부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에 북미 최대 규모의 아시안 식품 신공장을 짓고 있다. 총 7000억 원이 투입되는 이 공장은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며, 미국 시장 내 K푸드 수출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 회장은 미국 내 식품 수출 시 애로사항과 관세 이슈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외 이해진 네이버 의장,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등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이날 "인공지능(AI)과 테크, 글로벌 진출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상호 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 나눴다"고 설명했다.   이날 오후에도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려는 재계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트럼프 주니어의 방한은 정용진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트럼프 미 행정부와의 소통 채널을 만들어달라는 재계 요청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한 트럼프 주니어는 곧장 정 회장 자택으로 이동해 만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재계 면담이 끝나는 대로 이날 밤 출국할 예정이다. syu@newspim.com 2025-04-30 14:24
사진
'김문수·한동훈' 최종 승자는 누구 [서울=뉴스핌] 박서영 김가희기자 =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결선 진출자에 김문수·한동훈 후보가 이름을 올렸다. 반탄(탄핵반대)파 김 후보와 찬탄(탄핵찬성)파 한 후보가 2파전을 겨루게 된 가운데 최종 1인 자리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는 29일 오후 3차 경선에 진출할 후보자 2명을 발표했다. 안철수·홍준표 후보는 탈락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가나다순)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황우여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장은 경선 결과를 발표하며 "과반 득표자가 없어 3차 경선으로 이어지게 됐다"며 "우리 당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깊이 고민하시고 이번 투표에 참여해주신 존경하는 당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했다. 2강 후보에 진입한 김 후보는 "한 후보와 같이 마지막 경선을 하게 된 것을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 미래가 창창한 대한민국을 위해 한 후보께서 많은 역할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인사를 전했다. 한 후보는 "어려운 대선 상황에서 김 후보와 제가 생각은 조금 다르지만 2인 3각의 마음으로 하나의 후보로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맞서야 한다"며 "남은 경선 과정에서 김 후보를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로 생각하고 함께 이재명과 싸워 이기는 한 팀이 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홍 후보는 경선 결과 발표 직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입당시켜, 3차 경선에 진출하는 2명의 후보와 '원샷 국민 경선'을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그 부분은 조금 더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그는 경선 결과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 대행도 아직 출마선언을 하지 않았다. 지금 제가 답을 드리는 것 자체가 너무 앞서가는 것이고 당에서도 생각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차차 논의될 것으로 본다"고 즉답을 피했다. 한 후보는 한 대행을 포함한 '원샷 경선'이 공정성에 어긋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머지 (탈락한) 6명은 치열한 과정을 통해 여기까지 왔기 때문에 갑자기 (한 대행이) 들어와서 여기서 경선한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며 "우리는 전통이 있고 룰이 있는 정당"이라고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진출에 실패한 안철수 후보가 소감을 밝히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한편 이날 결선 문턱을 넘지 못한 안 후보는 "누가 최종 후보가 되든 이재명을 막고 정권교체 이루는 데 제 힘을 바치겠다. 우리 당의 승리가 국민 승리고 역사의 승리"라고 소회를 전했다. 홍 후보는 이날 결선 탈락을 끝으로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홍 후보는 "정치인생을 오늘로서 졸업하게 되어 감사하다. 이제 시민으로, 자연인으로 돌아가서 좀 편하게 살도록 하겠다. 이번 대선에서 제 역할은 여기까지"라고 했다. 앞서 지난 27∼28일 진행된 국민의힘 2차 경선은 당원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의 룰이 적용됐다. 당원 투표엔 76만5773명 중 39만4명(50.93%)이 참여했고 국민 여론조사는 5개 기관에서 6000명(역선택 방지 적용)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후보들의 순위와 득표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따라서 결선에 진출한 김 후보와 한 후보 중 누가 앞섰는지 알 수 없다. 이날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한동훈 후보 2명은 오는 30일 양자 토론회를 진행한다. 국민의힘 선관위는 다음달 1∼2일 양일 동안 선거인단 투표(50%)·국민 여론조사(50%)를 거친 후 같은달 3일 전당대회에서 최종 1명을 선출할 계획이다. seo00@newspim.com 2025-04-29 15:4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