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트까지 참여…80만 건 비속어 DB로 필터링 강화
세계 첫 포털 3사 공동 욕설 DB 구축·공개
KSS 활용 기관 확대…상반기 20만 건 이상 차단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는 11일, 자사가 운영하는 KISO 욕설 방지 시스템(KSS·KISO Safeguard System)에 네이트커뮤니케이션즈의 욕설·비속어 데이터베이스(DB)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로 KSS에는 네이버, 카카오, 네이트 등 국내 3대 포털이 보유한 약 80만 건의 욕설·비속어 DB가 모두 통합돼, 보다 정교하고 강력한 필터링이 가능해졌다. 이용자는 악의적인 언어폭력으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으며, 특히 아동·청소년 등 취약 계층에게는 보다 청정한 디지털 환경이 제공된다.
네이트가 제공한 DB는 네이트판, 뉴스 댓글 등 자사 서비스에서 수집·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 기존 KSS에 없던 표현도 다수 포함돼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맥락에서 발생하는 욕설이 보강되며, 시스템의 탐지 정확도와 효과도 함께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
KISO욕설방지시스템 로고. [사진=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
황용석 KISO 자율 규제 DB 소위원회 위원장(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은 "해외 디지털 플랫폼들도 유해 표현 필터링을 시도하고 있지만, 포털 3사가 공동으로 욕설 DB를 구축하고 이를 외부에까지 공개하는 KSS 같은 사례는 세계적으로 전례가 없다"며, "이는 글로벌 모범이 되는 자율 규제 모델"이라고 평가했다.
KSS는 댓글, 게시글, 아이디 등에서 욕설·비속어를 탐지·차단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언론사, 공공기관, 금융기관, 커뮤니티, 쇼핑몰 등 42개 기관 및 기업이 활용 중이다. 이들 기관에서는 올해 상반기에만 20만 건이 넘는 욕설과 비속어가 탐지·차단됐다.
KISO는 공공기관, 언론사, 회원사에는 해당 시스템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일반 기업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고 있다.
신익준 KISO 사무처장은 "KSS 도입을 희망하는 기관들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며 "시스템 고도화와 안정적인 운영을 통해 더 많은 기관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