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 정부가 침체된 자국 조선업의 경쟁력 회복을 위해 대규모 목표를 내걸었다.
현재의 약 2배 규모인 1800만총톤 건조 체제를 2035년까지 확립하겠다는 것이다. 중국과 한국에 밀려 존재감이 약화된 일본 조선업을 다시 주요 산업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일본 국토교통성에 따르면 2024년 일본의 선박 건조량은 908만총톤으로 세계 점유율은 약 13%에 불과하다. 정부는 이번 목표 달성 시 점유율을 20%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본 선주가 보유하는 선박을 자국 조선소에서 건조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겠다는 방침이다.
日정부는 오는 가을까지 정책 로드맵을 확정해 구체적인 수치 목표와 민관 투자 규모를 제시할 계획이다. 이어 2025년도 추가경정예산과 2026년도 본예산을 통해 건조 능력 강화, 인재 육성, 기업 간 협력, 디지털 전환(DX) 투자 등을 포함한 지원책을 내놓을 방침이다.
과제는 비용 경쟁력이다. 국토교통성 분석에 따르면 벌크선 건조 비용을 일본을 100으로 했을 때 중국은 약 80에 그친다. 정부는 공동 조달을 통한 자재비 절감, 생산성 향상을 통한 건조 비용 억제 등 대책을 병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2035년까지 건조되는 선박의 약 40%를 수소·암모니아 등 차세대 연료를 활용하는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기술 개발 지원을 강화해 일본 해운업과 조선업의 동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움직임은 미국과 일본 간 관세 합의에서 조선업이 협력 분야로 포함된 점과도 맞물려 있다.
일본 정부는 우선 국내 산업 기반을 강화해 대외 협력에도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중국과 한국이 세계 1·2위를 차지한 조선업 시장에서 일본이 다시 존재감을 높일 수 있을지 주목된다.
![]() |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