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 기업들이 글로벌 인수·합병(M&A) 시장에서 '큰손'으로 떠올랐다. 2025년 상반기(1~6월) 일본 기업이 매수자로 나선 M&A는 총 2148억달러(약 300조원)로 반기 기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세계 M&A 시장에서 일본이 차지한 비중은 10%를 넘어서며, 버블 경제기 이후 34년 만에 두 자릿수 점유율을 회복했다고 1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전했다.
◆ 자본 효율화 위한 그룹 재편 본격화
일본 대기업들은 자본 효율성을 높이고 지배 구조를 정비하기 위한 그룹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토요타자동차는 약 4조7000억엔을 들여 계열사인 토요타자동직기를 인수해 비상장화하기로 했고, NTT는 상장 자회사 NTT데이터그룹을 약 2조엔에 완전 자회사화할 방침이다.
일본 증시는 오랫동안 모회사와 자회사가 동시에 상장하는 '친자(親子)상장'과 기업 간 지분 보유 관행 등으로 인해 시장의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최근에는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압박과 정책 변화가 맞물리며, 상장 자회사 정리 및 자본 구조 개편이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 |
토요타자동차 로고 [사진=로이터 뉴스핌] |
◆ 사업 분사·매각도 확대..."선택과 집중"
비핵심 사업이나 자회사를 분리하는 '카브아웃'도 빠르게 늘고 있다.
M&A 조사기업 레코프데이터에 따르면 1~6월 일본 내 카브아웃 건수는 약 270건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으며, 2008년 이후 반기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본담배산업(JT)은 의약품 사업을 약 1600억엔에 시오노기제약에 매각하고 본업인 담배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 자금력과 금융 지원이 뒷받침
풍부한 자금력과 일본 내 금융권의 적극적인 뒷받침도 일본 기업의 공격적 M&A를 가능케 하는 배경이다.
일본 주요 대기업의 현금 보유 규모는 2008년 이후 세 번째로 많고, 메가뱅크들도 대규모 자금을 공급 중이다. 실제로 토요타자동직기 비상장화를 위해 미쓰이스미토모은행 등 3대 메가뱅크는 총 2조8000억엔 규모의 융자를 제공했다.
다이와증권의 오기노 아키히코 사장은 "미국과 유럽에서는 상장기업 수가 이미 정점 대비 40%가량 줄었다"며 "일본에서도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MBO(경영자 인수)나 탈상장 움직임이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일본의 메가뱅크들 간판 로고 [사진=로이터 뉴스핌] |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