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 상장기업들이 2024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결산에서 순이익 기준으로 4년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고 2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도쿄증권거래소의 프라임 시장에 상장된 1072개 기업을 집계한 결과, 전체 순이익은 전년 대비 10% 증가한 52조1352억엔에 달했다. 전체 기업의 약 67%가 손익 개선을 기록했다.
비제조업의 실적 개선이 특히 두드러졌다. 전체 36개 업종 중 약 70%인 26개 업종에서 손익이 개선되었으며, 금융 및 해운업 등 비제조업의 호조가 제조업의 부진을 상쇄했다.
비제조업의 순이익은 20% 증가한 29조8267억엔으로, 제조업의 2% 감소(22조3085억엔)를 충분히 만회했다. 매출액 대비 순이익률도 6.4%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즈호은행, 미쓰비시UFJ은행, 미쓰이스미토모 등 3대 메가뱅크는 사상 최대 이익을 거뒀다. 보유 주식 매각 확대와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수익 증가가 실적을 끌어올렸다. 보험업 역시 순익 증가를 기록하며 금융업 전반의 실적 상승에 기여했다.
![]() |
일본의 메가뱅크들 간판 로고 [사진=로이터 뉴스핌] |
해운업은 중동 정세 불안으로 항행 일수가 늘어나 운임이 상승했고, 세계적인 선박 부족 속에서 자동차 운송 수요가 호조를 보이며 실적을 견인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LNG(액화천연가스) 선대를 보유한 미쓰이상선은 에너지 사업에서 강세를 보였다.
제조업 중에서는 생성형 인공지능(AI) 및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에 힘입은 반도체 관련 전기기기 분야가 약 1조엔 이상의 순이익 증가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증가분의 약 20%에 해당한다.
도쿄일렉트론은 순이익이 50% 증가했고, 반도체 테스트 장비업체인 어드밴테스트는 이익이 2.6배 급증했다.
반면 자동차 및 부품, 철강 업종은 부진했다. 자동차 업종은 약 6조3450억엔의 순이익을 기록했지만 전년 대비 22% 감소하며 약 1조7600억엔의 순감소를 보였다. 엔저 효과가 약화된 데다, 미국과 중국 등 해외 시장에서 고전이 뚜렷했다.
철강 업종도 해외 철강 시황 부진으로 타격을 받았다. 중국 내 수요 둔화로 값싼 중국산 철강재가 대량 유입됐고, 일본 내에서는 자재비 상승과 인력 부족으로 건설 수요가 위축됐다. JFE홀딩스는 순이익이 반토막 났다.
한편 올 회계연도 순익 전망은 밝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의 관세 정책 여파에 따른 경계감이 높은 데다, 엔화 강세 등이 수출 기업들의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다.
![]() |
토요타의 미국 판매점 [사진=로이터 뉴스핌] |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