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 사회 분야 TV 토론' 개최
이준석·김문수 후보, 탈원전 정책 비판
이재명·권영국 후보는 재생에너지 전환
[세종=뉴스핌] 신도경·이유나 기자 = 21대 대선 후보자들의 기후 위기 대응 관련 주요 키워드는 '원전', '재생에너지', '기후 불평등' 등으로 요약된다.
대선 후보들은 23일 오후 8시 영등포구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사회 갈등 극복과 통합 방안' 토론회에 참석해 기후 위기 대응 관련 설전을 벌였다.
◆ 이준석·김문수 후보, 탈원전 정책 비판…"원전 발전, 에너지 전략 핵심"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탈원전 정책을 새롭게 다시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시작한 탈원전 정책은 농지를 태양광 패널로 바꿔 운동권에 보조금만 주다 사법 처리를 받았다고 비판했다.
이준석 후보는 "이준석 정부는 다시 시작할 것"이라며 "비과학적 환경 주의가 아니라 과학과 상식에 입각한 합리적인 기후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내세웠다.
![]() |
[서울=뉴스핌] 국회사진기자단 =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토론회 시작에 앞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 2025.05.23 photo@newspim.com |
아울러 이준석 후보는 종이 빨대 정책도 비판했다. 이 후보는 "종이 빨대가 플라스틱 빨대보다 탄소 배출이 많고 인체에 해롭다는 연구가 결과가 있다"며 "결국 생산 기업만 피해를 봤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환경 정책은 국가 정책을 왜곡하고 국민에게 피해를 준다"며 "합리적인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도 문 정부의 탈원전 정책 강행에 따른 결과를 비판했다. 김 후보는 "온실가스 가장 적게 배출하는 에너지가 원자력 발전"이라며 "폭염 등 기후 위기로 전기가 많이 필요할 때 안정적인 원전 발전이 국가 에너지 전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 이재명·권영국 후보, 재생에너지 전환…권 후보, 부유층 '기후정의세' 도입
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재생에너지 전환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웠다. 전 세계의 에너지 정책 흐름이 화석 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 넘어가기 때문에 한국도 이에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재명 후보는 "정부가 재생에너지 산업을 탄압하며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산업이 매우 위축됐다"며 "한국의 산업 정책도 재생에너지 산업으로 신속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재명 후보는 서·남해안 중심으로 소멸 위기를 겪는 농어촌 중심으로 태양광 또는 풍력 발전을 대대적으로 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전남 일대의 송전망이 부족하다는 설명도 이었다.
![]() |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오른쪽부터), 이준석 개혁신당, 권영국 민주노동당,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으로 18일 서울 상암동 SBS 프리즘센터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5.18 photo@newspim.com |
이재명 후보는 "지역 데이터센터 같은 에너지 많이 사용하는 기업들을 유치해야 한다"며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산단을 만들어야 새로운 기회가 생긴다"고 강조했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후보는 기후 위기로 인한 불평등 해소 공약을 내세웠다. 온실가스의 33%가 10대 대기업과 부유층으로 나오는 반면 피해는 사회적 약자에게 전가된다고 했다.
권 후보는 "우선 온실가스 대량 배출하는 기업과 부유층에게 기후정의세를 도입하겠다"며 "취약계층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어 그는 "두 번째로 석탄 화력 시대를 끝내고 재생에너지 시대를 열겠다"며 "노동자 일자리와 지역 주민 삶을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권 후보는 "세 번째로 부총리급의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할 것"이라며 "네 번째로 핵발전소 없는 대한민국을 만들고 다섯 번째로는 국가가 에너지장을 주도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권 후보는 "한국산업은행이 녹색투자은행의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며 "과감한 결단과 기후 행동으로 어려운 목표에 도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