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페이지 보고서에 농산물부터 영화까지 수입 확대 방안 제시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중국 정부가 미국과 윈-윈(win-win)하기 위한 무역 정책 해법을 제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주의 무역 정책에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던 중국이 구체적인 대응에 나선 것. 중국 상무부가 내놓은 117페이지 분량의 가이드라인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반응이 주목된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사진=AP/뉴시스> |
멕시코와 함께 미국의 집중 공격을 받았던 중국이 25일 인프라 건설의 공조를 대폭 강화하는 한편 항공기부터 콩에 이르기까지 미국 상품의 수입을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중-미 무역 윈윈 전략을 내놓았다.
보고서에서 상무부는 “중국이 면화와 콩류 등 미국 농산물의 수입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며, 중국으로 들어오는 미국산 쇠고기의 검역 및 유통 과정에 대해 미국과 협상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중국은 항공기와 집적회로, 기계류 등 첨단 제조품의 수입도 늘릴 것이라고 전했다. 또 미국에서 제작된 영화의 중국 수출을 확대하는 한편 영화 제작사들의 수익 분배를 높인다는 내용도 보고서에 명시됐다.
아울러 중국은 관광 및 교육을 포함한 서비스 부문의 교역을 크게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중국과 미국의 경제 및 무역 관계에 관한 조사라는 제하의 보고서는 양국의 교역 현황에 대한 통계 데이터 및 케이스 스터디를 제시하는 한편 세계무역기구(WTO)를 축으로 한 무역 시스템을 옹호하는 자료를 담았다.
중국 정부의 이 같은 대응은 보다 예측 가능하고 안정적인 무역 협상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것이 외신들의 해석이다.
무엇보다 중국의 인프라 건설에 미국의 참여 기회를 확대한다는 제안이 일자리 창출에 사활을 건 트럼프 행정부의 시선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가령,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외형 성장을 통해 미국 IT 인력에게 취업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는 내용이 호감을 살 만 하다는 평가다.
베이징 소재 대외경제무역대학교의 투 친콴 WTO 연구소장은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상무부의 이번 보고서는 상당히 치밀하다”며 “미국과 협상을 강화하는 한편 대치 국면을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은 ‘당근’과 함께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요구 사항도 내놓았다. 교역 상대국 사이에 시장 원리를 충분히 감안, 덤핑 이익률을 합당하게 산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 IT 수출 제약과 미국 인수합병(M&A)을 목표하는 기업들의 투자 제한에 대한 불만도 털어 놓았다. 미국 정부가 첨단 IT의 중국 수출을 엄격하게 통제하는 동시에 중국의 기술 혁신을 견책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밖에 중국은 WTO 및 무역협정에 근거한 원칙과 질서를 지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