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학회 창립 60주년 기념 특별 강연회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국립과천과학관은 2025년 여름방학을 맞아 우주아카데미 강연 시리즈를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강연회는 화성 탐사와 소행성 연구, 외부은하 탐색, 그리고 한국형 발사체·인공위성 개발까지, 우주과학의 핵심 이슈들을 담은 3가지 특별 주제로 구성했다.
오는 19일부터 다음달 9일까지 천체투영관 토요일마다 총 3회 진행된다. 강의는 천문우주 분야의 세계적 석학들을 초청해 지적 깊이와 연구 현장을 동시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
/제공=국립과천과학관 |
첫 강연은 미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전인수 우주방사선센터장이 맡는다. 전 박사는 본인이 직접 참여한 화성 탐사 로버 '큐리오시티(Curiosity)' 로버와 태양계 최초의 금속 소행성 탐사 '프시케(Psyche)' 임무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큐리오시티 임무는 고대 물의 흔적을 추적해 화성 생명체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과학 실험을, 프시케 탐사는 금속 소행성의 구조를 분석해 태양계 형성의 비밀을 밝혀내려는 임무를 맡고 있다.
오는 26일 열리는 두 번째 강연은 서울대 1호 천문학 박사인 안홍배 부산대 명예교수와 신지혜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이 연사로 나선다.
안 교수는 40여 년간 외부 은하를 연구한 은하 관측의 개척자로 평가받는다. 소백산천문대에서 안드로메다 은하를 관측한 경험과 명왕성 퇴출 논쟁에 참여했던 일화 등을 소개한다. 신 박사는 한국 천문학의 미래를 조망한다.
이외에도 누리호 1~3차 발사를 총괄한 고정환 본부장(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 한재흥 교수(KAIST 우주연구원장 겸 인공위성연구소장) 등은 한국 인공위성 기술의 성과와 현재 진행 프로젝트들을 소개한다.
우주아카데미 강연회는 과학자들과 청소년을 비롯한 시민이 함께하는 여름방학 특별 과학 행사로, 10세 이상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