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수소·문화 인프라까지…전북 미래 대전환위한 예산 전쟁 돌입
[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북 지역 정치권과 지방정부가 내년 국가예산 확보와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공동 대응체계를 본격 가동했다고 11일 밝혔다.
전북자치도는 이날 도청에서 김관영 도지사를 비롯해 지역 국회의원과 14개 시장·군수가 한데 모여 '2026년 국가예산 확보 및 지역현안 해결 예산정책협의회'를 열었다.
이번 회의에서는 기획재정부의 2차 예산심의에 대응하는 공동 전략과 쟁점 사업 설명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 |
전북특별자치도 국회의원·도·시군 예산정책협의회[사진=전북자치도]2025.07.11 lbs0964@newspim.com |
도와 시군은 주요 사업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하며, 특히 기재부가 미온적이거나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사업들에 대해 국회의원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전북 자치도와 시군이 건의한 주요 사업은 총 50건으로, 지역 균형발전과 미래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핵심 과제로 꼽힌다.
대표적으로 AI 신뢰성 혁신 허브센터 구축, 펫푸드 소재 산업화 플랫폼 조성, 수소상용차 전용 안전검사센터 건립 등 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프로젝트가 포함됐다.
최근 정부 추경에서 피지컬AI 실증 인프라 예산 약 229억 원이 추가로 확보된 바 있다.
또한 전주교도소 이전 계획과 연계된 '국립 모두예술 콤플렉스' 건립사업이나 글로벌 태권도 인재양성센터 설립 등 문화 인프라 확충 프로젝트 역시 추진된다. 이들 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인구유입 효과까지 겨냥하고 있다.
국가어항 조성, 재난안전 클러스터 구축, 노후 상수관망 정비 등 생활 밀착형 인프라 개선 과제 역시 도민 안전과 직결돼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분야로 꼽혔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세수 여건 악화에도 불구하고 경기 회복 속 재정 역할이 커지는 만큼 남은 두 달 동안 정치권과 원팀으로 국가예산 확보에 만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도당위원장은 "새 정부 국정과제 반영 과정에서 우리 핵심 현안들이 빠짐없이 들어갈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며 "2026년 국가예산 확보를 위해 정치권·도·시군 모두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헌율 시장군수협의회장 역시 "14개 시군은 대선공약 및 국정과제 반영 등 선제적 대응으로 빈틈없는 활동 중이다"며 "8월까지 계속될 예비편성 과정에서 도민 체감 성과 내겠다"고 말했다.
lbs096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