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최약체 홍콩 상대로 동아시안컵 2차전
[서울=뉴스핌] 손지호 기자 = 홍명보호의 옥석 가리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직전 중국전에서 성공적인 데뷔전을 가진 3선 미드필더 김봉수(대전하나시티즌)와 서민우(강원FC)가 3선 미드필더 경쟁에 불을 붙였다.
홍명보호가 최약체 홍콩을 상대로 두 번째 실험 무대에 나선다. 6년 만에 대회 통산 6번째 우승을 노리는 한국 축구대표팀은 11일 오후 8시 용인 미르스타디움에서 홍콩과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2차전을 치른다.
![]() |
한국 축구대표팀 선수들이 7일 동아시안컵 남자부 1차전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KFA] |
한국은 앞서 열린 중국과의 1차전에서 3-0 완승을 거두며 기분 좋게 출발했다. 주축인 유럽파들 없이 K리그 선수들로만 대표팀을 꾸렸는데, 홍 감독은 이 대회를 월드컵 대비 실전 점검과 함께 A매치 경험이 없는 선수들을 시험하는 장으로 삼고 있다. 중국보다 더 약체로 분류되는 홍콩전에선 더 많은 선수 실험이 예상된다.
현 대표팀에서 3선 발굴은 이번 대회 주요 숙제이자 앞으로의 큰 고민거리 중 하나다. 붙박이 중원 황인범이 있지만 함께 할 파트너가 확실히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박용우(알아인)가 줄곧 중용됐지만 계속 불안한 장면을 만들며 믿음을 주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원두재(코르파칸)가 쿠웨이트와의 2026년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B조 최종전서 그 임무를 맡아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주전 자리를 확실히 꿰차진 못했다.
홍명보호에서 3선 미드필더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자주 사용하던 4백 포메이션에서도 공수의 연결고리를 맡아 왕성한 활동량으로 상대의 공격을 1차로 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미드필더가 필수다. 지난 중국전에서 실험한 3백 포메이션에서도 수비진 보호를 위한 우수한 수비형 미드필더 보유가 핵심이다.
![]() |
[서울=뉴스핌] 손지호 기자 = 9일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1차전 중국과의 경기에 나선 서민우. [사진=대한축구협회] 2025.07.11 thswlgh50@newspim.com |
이런 상황에 중국전을 치른 후 새로운 3선 미드필더 발굴에 청신호가 켜졌다. 당시 김봉수는 선발 출전해 후반 28분까지 73분을 소화했고, 서민우는 교체로 약 17분 정도 운동장을 누비며 A매치 데뷔전을 가졌는데 리그에서 보여줬던 자신들의 장점을 보여주며 수비형 미드필더 경쟁에 새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객관적 전력이 약한 중국을 상대로 두 선수에 대한 평가가 섣부를 수 있지만 둘 다 적극적인 플레이로 '살림꾼'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김봉수는 프로축구 K리그1 무대에서 5시즌 동안 152경기(5골 5도움)를 뛰어 풍부한 경험을 가진 선수다. 올 시즌 김천 상무에서 15경기 모두 선발 출전해 팀 내 인터셉트 1위(34회), 차단 2위(48회), 볼 획득 2위(160회), 블락 4위(29회)로 중원 장악 능력을 뽐냈다. 패스 성공률도 90%에 이를 정도로 안정적이다. 전역 후 대전에 합류해서도 3경기 모두 선발로 나섰다.
![]() |
[서울=뉴스핌] 손지호 기자 = 프로축구 K리그1 대전하나시티즌 김봉수. [사진=대한축구협회] 2025.07.11 thswlgh50@newspim.com |
김봉수는 지난해 11월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5, 6차전에 나설 대표팀 명단에 포함돼 생애 처음으로 태극마크를 달았지만, 데뷔전을 갖지는 못했다. 지난 중국전에서 기다리던 데뷔전을 가진 김봉수는 중원에서 공격진들에게 정교한 패스를 시도해 공격에 활로를 열었다. 수비 상황에서도 적극적으로 부딪히며 실점을 허용하지 않았다.
김봉수는 홍콩전을 앞두고 "잘하고 싶다는 마음이 가장 컸다. 중원 싸움에서 우위를 가져가려고 노력했다"며 "포지션 경쟁자들 가운데 내가 제일 어리다. 활동량, 투지는 물론 상대와 싸워주는 부분에서 강점이 있다. 홍명보 감독님이 주신 기회를 최대한 좋은 경기력으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서민우도 2020년 K리그1 무대에 데뷔해 143경기(6골 3도움)를 소화한 베테랑이다. 올 시즌 김천에서 15경기 모두 선발로 나서 팀 내 인터셉트 2위(22회), 차단 1위(62회), 볼 획득 3위(129회), 블락 1위(32회)에 이름을 올리며 중원을 완벽히 책임졌다. 전역 후에도 원소속팀 강원에서 2경기 모두 선발로 나서 제 몫을 다했다. 중국전에선 짧은 시간이지만 안정적으로 중원을 지켰다.
![]() |
[서울=뉴스핌] 손지호 기자 = 프로축구 K리그1 강원FC 서민우. [사진=대한축구협회] 2025.07.11 thswlgh50@newspim.com |
서민우는 3선 미드필더 경쟁에 대해 "난 다른 선수들과는 많은 장점이 있다. 볼을 뺏겼을 때 바로 나오는 반응이나 에너지 레벨도 그렇고 프로 무대에서 더 많은 포지션을 봤기 때문에 다재다능함도 있다. 전술 이해도도 내가 자부할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대표팀 3선 자리에서 남은 약 1년의 시간 동안 원두재, 박용우, 백승호 등과 주전 자리를 두고 싸움을 벌여야 한다. 홍명보호 전술의 핵심인 만큼 남은 대회 기간 동안 홍명보 감독의 눈도장을 받아 이어지는 북중미 월드컵 여정에 계속 부름을 받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thswlgh5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