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헬스에 챗봇 도입 예고
향후 유료 기능 가능성 시사
젤스 인수로 B2B 모델도 가속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삼성전자가 올해 안에 미국 시장을 시작으로 헬스케어 인공지능(AI) 서비스를 본격 도입한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삼성헬스'를 통해 제공될 예정인 이 기능은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AI가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병원에서 받은 처방을 일상 속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삼성전자는 10일(현지시간) 뉴욕 브루클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 |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전경 [사진=뉴스핌DB] |
간담회에 참석한 박헌수 MX사업부 디지털헬스팀 팀장은 "병원과 의료체계를 앱,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항상 연계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것"이라며 "우선 미국 시장에서 출시할 예정으로 국내 출시 일정은 미정"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기능은 삼성헬스 앱에 챗봇 형태로 탑재되며 사용자가 일상 언어로 질문하면 건강 관련 정보를 AI가 대화하듯 제공하는 방식이다.
국내 의료계의 반발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AI 헬스코치는 진단이나 치료를 대신하지 않는다"며 "건강상의 이상 신호가 발생하면 알려주는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은 헬스케어 플랫폼의 수익화 방향성도 열어두고 있다.
박 팀장은 "현재 삼성헬스는 무료로 제공 중이지만 향후 추가 기능이 출시되면 수익 정책이 결정될 것"이라며 "최근 인수한 디지털 헬스 기업 젤스를 통해 기업간거래(B2B) 중심의 다양한 사업 모델도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7일 미국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 젤스(ZAELZ)를 인수했다. 젤스는 병원과 의료진이 환자의 건강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확인하고, 개인 맞춤형 디지털 치료 솔루션을 추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이날 기자간담회에 앞서 열린 테크 포럼에서 젤스 CEO 마이클 맥쉐리는 "10년 전에는 약을 종이에 처방했지만, 지금은 98%가 디지털로 이뤄지고 있다"며 "이제는 디지털 헬스 데이터를 연결하는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했다.
a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