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 정부 소식통 "무역 협정 체결하지 않고 美의 상호 관세 수용할 수도"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미국으로부터 관세 서한을 받지 못한 인도가 무역 협상단을 재파견한다. 유제품 등 농산물 시장 개방과 자동차 부문 관세 등에 대한 쟁점 해결에 협상의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11일(현지 시간) 인디안 익스프레스와 힌두스탄 타임스 등은 소식통을 인용, 라제시 아그라왈 인도 상공부 차관이 이끄는 협상단이 내주 워싱턴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지난달 25일 미국 방문길에 올라 이달 초까지 일주일 이상 협상한 뒤 4일 귀국한 지 일주일여 만에 다시 미국을 찾는 것이라고 매체는 덧붙였다.
소식통은 "협상단은 합의를 가로막고 있던 농업 분야에 대한 이견이 해소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며 "이미 양측 간에 이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합의가 이루어졌으며 나머지 쟁점들도 해결될 것"이라고 전했다.
양국은 이달 초 미국에서의 협상을 통해 협정의 핵심 사항에 합의했지만, 미국 정부가 인도 농산물 및 자동차 시장에 대한 무제한적인 접근을 원하면서 협정은 체결되지 않았다고 힌두스탄 타임스는 지적했다. 인도 정부는 민감한 농업 부문을 개방하는 데 소극적 입장을 유지하면서 관세 및 비관세 양허에 있어서도 상호주의를 고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디안 익스프레스는 "인도 측은 유제품과 농업 등 민감한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문에서 미국에 상당한 시장 접근성을 제공했다"며 "이에 따라 미국은 섬유 및 신발 등 노동집약적 분야에 대한 관세를 인하하고, 향후 인도에 대한 관세 부과를 보류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미국의 주요 무역 상대 중 하나인 인도는 아직 관세 서한을 아직 받지 못했다. 미국과 인도가 관세 협상에서 진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오지만 공식 협정 체결 발표는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 |
상호 관세 발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블룸버그] |
한편 미국과의 협상에 임하는 인도의 태도에 변화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인도는 당초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대신 미국과의 조기 협정 체결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이었으나 지난달 돌연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과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문제삼은 데 이어 이달 초 세계무역기구(WTO)에 보복 관세 부과 계획을 알렸다.
최근에는 미국의 상호 관세 유예 마감에 연연하지 않을 것이란 입장도 밝혔다.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은 미국과 무역 합의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미국이 설정한 협상 마감일에 맞추기 위해 서두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도는 어떤 무역 합의도 마감일이나 시한을 기준으로 하지 않는다"며 "우리는 협상이 완전히 마무리되고, 국가 이익에 부합할 때만 수용할 것"이라고 고얄 장관은 말했다.
인도가 무역 협정 체결을 거부하고 미국의 상호 관세를 수용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더 뉴 인디안 익스프레스는 소식통을 인용, "미국은 다른 나라에도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며 "따라서 인도의 수출 경쟁력이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