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용 전 국정원장·임종득 국민의힘 의원 자택도 압색
전날 국방부·국가안보실 압색…첫 강제수사 나서
"휴대폰 분석 후 내란특검과 협의 가능할 것"
[서울=뉴스핌] 백승은 기자 = 채해병 순직 사건에 대해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특검) 팀이 사건의 단초가 됐다고 알려진 'VIP(윤석열 전 대통령) 격노설'에 대한 수사를 본격화하고 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의 사저를 비롯해 당시 대통령실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에 참석했다고 알려진 조태용 전 국정원장,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 자택 등 10여 곳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서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날 특검은 서울 서초구 서초한샘빌딩에서 브리핑을 하고 11일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에 위치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자택을 압수수색 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해 발부된 압수수색 영장에는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가 적시돼 있다.
![]() |
[서울=뉴스핌] 류기찬 인턴기자 = 채해병 사건에 대해 수사 중인 이명현 특별검사(특검) 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사저를 압수수색했다. 사진은 지난 8일 정민영 특검보가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 브리핑룸에서 언론 브리핑을 하는 모습. 2025.07.11 ryuchan0925@newspim.com |
브리핑을 진행한 정민영 특검보는 "(특검팀은) 아크로비스타를 오전 9시 넘어서 (압수수색을 위해) 간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윤 전 대통령은) 사건 최초 기록과 관련해 이첩을 보류·회수하도록 하고, 이후 수사결과를 변경하는 과정 전체에 대해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피의자로 고발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윤 전 대통령이 10일부터 서울구치소에 구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특검은 변호인 등과 압수수색 관련 협의를 진행 중이다. 정 특검보는 "당사자가 구속된 상태"라며 "압수수색 과정에 변호인이 참여하는 걸로 협의가 이뤄지면 (압수수색을) 할 수 있는데, 지금 그 협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라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 사저와 함께 특검팀은 조 전 국정원장, 임 의원 주거지 등 10여 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조 전 원장은 채해병 순직사건이 발생했을 당시 국가안보실장을, 임 의원은 국가안보실 2차장을 지냈다. 이들은 지난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 VIP 격노설이 불거진 당일 자리에 함께했다고 알려졌다.
윤 전 대통령은 당시 회의에서 채해병 사망 사건을 보고받고 격노하며 사건 수사 방향에 직접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앞서 특검팀은 전날 국방부·국가안보실 사무실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자택 등 10여곳에 대해 압수수색 하며 출범 후 첫 강제수사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조 전 원장의 사무실도 압수수색 했다.
정 특검보는 "어제는 (조 전 원장이) 국가안보실에서 사용했던 사무실 압수수색이고, 오늘은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 한 것"이라며 "(조 전 원장의) 휴대전화도 오늘 영장에 따라 확보했다"라고 밝혔다.
임 의원의 경우 사무실도 압수수색 집행 대상이다. 정 특검보는 "임 의원 자택으로 압수수색 영장 일부를 집행했다"라며 "영장에 국회의원 사무실도 집행대상이라 국회의원회관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들었다"라고 설명했다.
이날 특검은 국방부 법무관리실을 포함해 일부 사무실에 대해 압수수색도 진행하고 있다.
채해병 사건 당시 대통령실 법률비서관을 역임했던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역시 압수수색 대상이 되냐는 질문에 특검은 답하지 않았다.
정 특검보는 주 의원이 압수수색 대상이냐는 질문에 "오늘 대상은 아니다"라고 했다. 임 전 사단장의 압수수색 여부에 대해서는 "개별적 확인은 어렵다"라고 답했다.
12·3 비상계엄에 둘러싼 의혹에 대해 수사 중인 조은석 내란 특검과 결과를 공유하고 있냐는 질문에 정 특검보는 "이제 압수수색 단계라 지금은 자체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라며 "(관련자들) 휴대전화 분석 끝나고 이후에는 협의할 수 있을 걸로 보고 있다"라고 답했다.
100wi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