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정동극장의 '쇼맨', EMK의 '프리다', 북한판 안네의 일기를 무대화한 '은경' 등 바야흐로 창작뮤지컬의 전성시대가 열렸다. 해외 유명 라이선스 작품이 대다수였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국내 창작 작품이 뮤지컬 시장 주류가 됐다.
한국 순수 창작 뮤지컬로 브로드웨이에 진출한 '어쩌면 해피엔딩'이 공연계 최고 권위의 토니상 6관왕에 오르면서 국내 창작 뮤지컬의 위상도 한층 높아졌다. 현재 공연 중인 다양한 창작극 가운데 '마리 퀴리'와 '어쩌면 해피엔딩'처럼 해외에서 성과를 거둘 작품이 나올지 주목된다.
11일 개막하는 정동극장의 '쇼맨'은 초연 당시, 제7회 한국뮤지컬어워즈에서도 대상, 극본상(한정석 작가), 남자주연상(윤나무)을 수상하며 화제를 모으는 동시에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사회와 이데올로기 속에서 주체성을 잃어버린 인간의 삶과 그 회복 과정을 그린 블랙코미디 뮤지컬로 재연까지도 매진 세례를 기록하며 공연팬들에게 사랑받은 수작이다.
![]() |
2023 쇼맨 공연사진. [사진=정동극장] |
특히 '레드북' '여신님이 보고계셔' 등을 함께 작업한 국내 창작 뮤지컬계 대표 트리오 한정석 작가, 이선영 작곡, 박소영 연출가의 손끝에서 탄생한 '쇼맨'은 올해 삼연을 맞으며 한층 더 깊어진 해석과 무르익은 연출로 다시 관객들과 만난다. 개인이 살아가는 시대와 사회 흐름에 휩쓸려 잃어버리는 주체성의 고민, 그럼에도 회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스스로를 돌아보는 모습에서 깊은 울림과 감동을 주는 작품인 만큼 글로벌 무대에서도 경쟁력이 충분하다.
'프리다'는 한국에 다수의 유럽 라이선스 뮤지컬을 선보였던 EMK의 대표 창작 뮤지컬이다. 지난 17일 서울 NOL 유니플렉스 1관에서 세 번째 시즌이 개막했다. 초연 때부터 독특한 구성과 멕시코의 국민 화가 프리다 칼로의 인생을 조명하며 관객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았던 공연이다.
![]() |
뮤지컬 프리다 공연사진 [사진=EMK뮤지컬컴퍼니] |
특히 두 번의 시즌을 지나 삼연을 올리며 한층 탄탄한 완성도를 갖추게 됐다는 평가다. '프리다'는 불의의 사고 이후 평생 고통 속에서 살면서도 자신의 아픔을 예술로 표현하며 삶의 환희를 잃지 않았던 '프리다 칼로'의 마지막 순간을 액자 형식으로 풀어낸 쇼 뮤지컬이다. 어둠에 당당히 맞선 열정적인 예술가 프리다 칼로의 "VIVA LA VIDA!"라는 메시지를 통해 고통 속에서 발견하는 삶을 향한 열정과 치유를 전달한다.
뮤지컬 '은경'은 북한 청년의 순수한 이야기를 담은 작품으로 9일부터 창작 초연 중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공간지원과 (재)박세리희망재단 후원으로 제작됐으며 13일까지 서울 CKL스테이지에서 공연을 마친 뒤 17일부터 19일까지 대구학생문화센터 소극장에서 공연된다. 작품은 북한 10대 청년의 삶을 순수하고 섬세한 시선으로 조명한다.
![]() |
뮤지컬 은경 공연사진 [사진=(사)문화예술교육협회] |
뮤지컬 '은경'은 북한판 '안네의 일기'로 불리는 원작 에세이 '은경이 일기'를 토대로 제작됐다. 17세 청년의 소소한 일상을 통해 북한의 현실을 들여다본다. 지난 2024년 서울특별시 2024 통일인식 및 북한 이해 제고를 위해 제작돼 쇼케이스에서 처음 선보인 작품으로 북한이란 낯선 곳을 배경으로 하지만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청춘의 고민과 성장을 담아냈단 평가다. 세계 유일의 분단국인 한국 관객들은 물론 세계적으로도 울림을 줄 수 있는 소재다.
국내 순수 창작 작품들과 함께 브로드웨이에서도 꾸준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오디컴퍼니 신춘수 프로듀서의 '위대한 개츠비' 브로드웨이, 웨스트엔드 초연에 이어 CJ ENM에서도 '물랑루즈'의 뒤를 잇는 새 프로덕션을 준비한다. CJ ENM에서 국내 영화로 개봉했던 오리지널 IP '댄싱퀸'을 현지 프로덕션으로 선보인다.
![]() |
'위대한 개츠비' 공연 장면 [사진=오디컴퍼니] |
'어쩌면 해피엔딩'에 앞서 국내 창작 뮤지컬 중 성공적인 해외 진출 사례로 꼽혔던 '마리퀴리'와 '레드북'의 사례가 재현될 가능성도 있다. 폴란드의 대표 과학자 마리퀴리의 삶을 조명하면서 폴란드, 영국서 초청공연한 '마리퀴리'와 비슷하게 '프리다'가 멕시코로 진출한다면 새로운 쾌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쇼맨' 역시 영국을 배경으로 한 '레드북'이 영어 프로덕션으로 영국에 진출한 사례를 다시 쓸 수 있다.
공연 업계 관계자는 "공연팬들 사이 국내 창작 뮤지컬에 대한 수요가 꾸준하다. 이전의 대형, 라이선스 뮤지컬 선호가 사라진 건 아니지만 소극장, 창작 뮤지컬에도 N차 관람객들이 대부분이다. '어쩌면 해피엔딩'도 국내에서 먼저 좋은 반응으로 시작했던 만큼 향후 해외 진출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