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식 안내 문자에 URL 포함 안 해"
신청은 카드사·지자체 등 공식 경로로만 가능
통신사·국민 비서 통해 '사전 경고 문자' 발송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정부는 '민생 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기를 앞두고, 정부·카드사·은행 등을 사칭한 문자 결제 사기(스미싱) 피해가 우려된다며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안내 문자에 인터넷 주소(URL)가 포함됐다면 100% 사기로 간주하고 절대 클릭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10일 정부는 민생 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을 앞두고 정부 기관이나 카드사·은행을 사칭한 스미싱 문자 사기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용자들이 문자 내 URL 클릭을 피하고 피해 예방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줄 것을 요청했다.
스미싱(smishing)은 문자 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해 개인정보나 금융 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이다. 이번 소비쿠폰과 관련해 카드 사용 승인, 신청 유도, 지급 대상 안내 등을 빙자한 문자가 대표적이다.
민생 회복 소비쿠폰은 카드사 앱·홈페이지·콜센터(ARS), 또는 지역사랑상품권 플랫폼과 지자체 주민센터 등을 통한 공식 경로로만 신청할 수 있다. 정부는 온라인 신청 페이지에 '스미싱 주의' 문구를 포함하고, 어르신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오프라인 신청 시에도 주의 안내를 병행할 계획이다.
정부와 카드사, 지역화폐사는 소비쿠폰 관련 안내 시 절대로 인터넷 주소(URL)나 링크가 포함된 문자나 SNS 메시지를 발송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따라서 안내 문자에 URL이 포함됐다면 정식 안내가 아니므로 즉시 삭제하고, 링크를 클릭했다면 감염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스미싱 피해가 의심될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운영하는 24시간 무료 118 상담센터를 통해 상담받을 수 있으며, 악성 앱 감염 여부 등 점검도 가능하다. 스미싱 의심 문자나 링크를 받은 경우에도 신고할 수 있다.
정부는 오는 14일부터 이동통신사 명의로 '스미싱 피해 예방 문자'를 순차 발송하고, 정부·지자체 누리집에 관련 안내와 주의사항을 게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민 비서 알림 서비스(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17개 플랫폼)를 통해 소비쿠폰 안내와 함께 스미싱 주의 메시지도 발송한다.
또한 금융감독원,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스미싱 발생 및 신고 현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악성 사이트 등 유포지를 즉시 차단하는 체계를 운영하는 등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 |
방송통신위원회 로고. [사진=방송통신위원회] |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