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 기상과 야간 산불에 신속 대응 체계 구축
공군 수송기 활용…공중 진화 시스템 시범 사업 추진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산림청과 국방부는 극한 기상과 야간 산불, 대형 산불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야간 산불 화선 정보 지원 및 산불 진화 자원 초기 투입 등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최근 경북과 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인한 피해를 계기로 두 기관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이 위협받는 상황을 안보 상황으로 간주하고 신속한 진화를 위한 초기 사업에 군 자산을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할 방침이다.
![]() |
[산림청 로고] |
이를 위해, 40여 대의 헬기를 즉각 투입 가능한 전력으로 배치하고 추가로 필요한 헬기를 예비 전력으로 사전 편성할 예정이다. 군은 헬기 조종사들에 대해 산불 진화를 위한 물 투하 훈련을 실시하고, 산림청은 전문 교관을 지원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두 기관은 영남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이후 산불 진화를 위한 군 자산의 추가 활용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했으며 지난 4월 각 관련 기관의 국장급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관·군 산불 진화 협업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했다.
아울러 다양한 세부 과제 수행을 위한 워킹 그룹을 운영하여 5월 9일부터 7월 2일까지 총 11회의 회의와 현장 실사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공군 수송기(C-130J)에 물탱크를 장착해 산불 진화에 활용하는 공중 진화 시스템(MAFFS) 시범 사업과 야간 산불 화선 정보를 위한 군 정보 자산 활용 방안을 마련했다.
한편 두 기관은 '범정부 산불 진화 자원 운용 협의체'에 참여해 협력을 지속하고, 산사태 등 다양한 재난 상황에서도 국민과 장병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자원 상호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이용권 산림재난통제관은 "양 기관의 협력이 대형 산불 진화 대응력을 강화하는 결과로 범정부 차원의 통합 관리와 상호 지원의 모범 사례"라고 말했다.
이갑수 국방부 군수 관리관은 "산불을 재난 안보 상황으로 인식하며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국방부는 계속해서 정부 차원의 재난 대응 능력 강화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