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사회 서울시

속보

더보기

[여기!서울] 도심 속 다섯 섬, 숨은 사연 들어보세요

기사입력 : 2018년06월11일 14:50

최종수정 : 2019년03월14일 14:32

서울의 섬, 여의도·밤섬·노들섬·서래섬·선유도 등 5개
철새도래지부터 정치·경제 중심지까지 각양각색

[서울=뉴스핌] 글·사진·영상 박진범 기자 = [여기!서울]은 1000만 시민의 도시 서울 곳곳의 명소를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사람들이 몰려드는 핫플레이스는 물론, 미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 공간을 만나보세요.

자전거 페달을 밟으며 한강 둔치를 신나게 달리다 곁눈질로 슬쩍 봤던 섬들. 서울에 남아 있는 다섯 개의 섬은 저마다 재밌는 이야기를 품고 있다.

◆양화대교를 건너다 본 작고 예쁜 섬 선유도

선유도는 축구장 15개 정도 크기(11만400㎡)의 섬이다. 행정구역은 영등포구 양화동. 조선시대에는 섬이 아니라 육지에 붙은 봉우리였는데 ‘신선이 놀던 산’이란 뜻으로 선유봉이라 불렸다. 1741년 화가 겸재 정선이 이곳을 배경으로 진경산수화를 남겼을 정도로 절경을 자랑했다.

선유도는 약 80년간 아픔을 겪었다. 1925년 일제가 홍수를 막는다는 명분으로 암석을 채취해 섬 전체가 크게 훼손됐다. 1965년 양화대교가 섬을 통과해 건설됐고 1978년에는 선유정수장이 세워지면서 아름답던 옛 모습을 대부분 잃게 됐다.

섬이 명소로 다시 태어난 것은 2002년이다. 서울시는 164억원을 들여 쓸모를 다한 정수시설을 재활용, 생태 및 수생 공원으로 만들고 물을 주제로 식물원과 정화원을 만들었다.

현재 선유도에 조성된 한강공원은 연인들이 손을 맞잡고 거닐고, 한강과 어우러진 풍경을 즐기는 데이트 코스가 됐다. 바람 따라 흔들리는 선유교에서 바라보는 섬과 강의 조화가 일품이다.

밤섬 [사진=박진범 기자]

◆도심 속 철새의 땅 밤섬

여의도에서 서강대교로 진입하면 양 옆으로 녹색 습지가 펼쳐진다. 인적 없이 고요한 가운데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만 들린다. 주변에는 빌딩과 아파트가 무성하지만 이 곳만은 한적하다. 도심 속 섬에서 비롯되는 묘한 부조화는 영화 소재로 쓰이기도 했다.

밤섬은 밤알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부터 해방 후까지는 ‘율도’로 불린 이곳은 원래 사람이 살던 곳이다. 고려시대에는 귀양지였고 조선시대에는 희귀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군락을 이루며 살았다. 섬이 꽤 커 주민도 많았다.

밤섬도 아픈 기억을 지니고 있다. 1968년 여의도가 개발되면서 한강 흐름을 방해한다고 ‘폭파’ 당했다. 이때 섬 내 주민들을 모두 이주시켜 무인도가 됐다.

시간이 흐르며 밤섬은 퇴적 작용을 거쳐 서서히 원래 몸집을 회복했다. 오히려 지금 면적(24만1000㎡)이 폭파 당시보다 넓다. 사람이 떠난 자리는 철새가 대신했다. 야생조류 49종을 포함, 세계적으로 희귀한 물새도 날아들어 2012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됐다. 현재는 사람의 접근이 금지됐고, 차량으로 서강대교를 지날 때 경적을 울려서도 안 된다.

서래섬 [사진=박진범 기자]

◆유채꽃·일몰 명소 서래섬·노들섬부터 정치금융 일번지 여의도까지

서래섬은 반포대교와 동작대교 사이에 있는 3만3000㎡의 아담한 섬이다. 15분이면 전체를 둘러볼 수 있을 만큼 작다. 1980년대 올림픽대로와 한강을 종합개발하면서 조성된 인공섬으로 매년 5월 유채꽃 축제가 열린다. 이 때를 맞춰 방문하면 노란색으로 물든 장관을 즐길 수 있다.

노들섬은 면적 11만9855㎡의 인공섬이다. 원래 모래벌판이었는데 일제 강점기 이촌동에서 노량진까지 철제 인도교를 건설하면서 주변 모래를 쌓아 만들었다. 조선 시대에는 ‘사촌’, 즉 모래밭 마을로 불렸으며 이 곳에서 바라 본 일몰이 아름답기로 유명했다. 현재 여의도 불꽃놀이 관람의 명소다.

지금은 서울의 랜드마크가 된 여의도는 한 때 보잘 것 없는 모래땅이었다. 한강 범람원으로 형성돼 면적이 8.4㎢에 이른다. 잉화도(仍火島), 나의도(羅衣島), 여의도(汝矣島) 등으로 불렸는데 모두 넓은 섬이란 뜻이다. ‘나의 섬’ ‘너의 섬’ 등 말장난이 발단이 돼 여의도가 됐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여의도는 원래 농사에 쓸모가 없는 땅이었다. 그러나 현재 천지개벽 수준으로 발전했다. 1970년 마포대교, 1980년 원효대교가 개통되면서 개발이 가속화됐고, 정치·경제·금융 중심지로 발돋움했다. 

◆잠실도와 저자도..사라진 서울의 섬들
서울에는 과거 잠실도, 난지도, 저자도 등 다른 섬도 있었다. 지금은 육지로 연결되거나 한강 개발 과정에서 섬 토사가 사용되며 자취를 감췄다. 명칭 때문에 흔히 섬인 줄 착각하는 뚝섬은 섬이 아니다. 큰 깃발을 뜻하는 ‘독(纛)기’서 유래해 독도→똑섬→뚝섬이 됐다.

강 위에 ‘떠다니는’ 세빛섬도 있다. 면적 9995㎡의 인공섬이다. 혈세를 퍼부었다는 논란이 있었지만 지금은 영화의 단골 촬영지 및 시민공간으로 자리를 잡았다.

서울은 아니지만 한강 하류의 백마섬(김포)은 군사지역으로 남북 대치를 실감케하는 곳이다. 지난 2013년 43년 만에 민간에 딱 하루 개방된 바 있다.

beom@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국힘 대선후보 김문수 56.53% 득표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에서 당직자들과 손을 들며 인사하고 있다. 2025.05.03 photo@newspim.com   2025-05-03 17:28
사진
李 파기환송심 서울고법 재판장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서울고법에 돌려보낸 지 하루 만에 이 후보의 파기환송심을 맡을 재판부와 첫 공판기일이 정해졌다. 서울고법은 2일 오후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을 형사7부(재판장 이재권)에 배당했다. 또 이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과 관련해 소환장 및 기일통지 발송에 이어, 집행관 송달을 촉탁했다. 집행관 송달은 우편송달이 되지 않을 때 진행하는 특별송달이다.  서울고법의 선거사건 전담 재판부는 형사2부, 6부, 7부 3곳인데 이 후보의 기존 항소심 재판부인 형사6부는 배당 대상에서 제외됐고 6부의 대리 재판부인 형사7부에 배당됐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이재권 재판장, '민주당 돈봉투' 등 사건 맡아 해당 재판부는 '민주당 돈봉투' 사건으로 기소된 이성만 전 의원과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의 전 보좌관 박용수 씨 사건을 심리하고 있다. 이밖에 폐수 불법 배출 혐의를 받는 HD현대오일뱅크 사건,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사건 관련 허위 면담보고서 작성 혐의를 받는 이규원 조국혁신당 전략위원장(전 부부장 검사) 사건도 맡고 있다. 해당 재판부는 이재권(사법연수원 23기) 부장판사와 박주영(33기)·송미경(35기) 고법판사로 구성됐다. 재판장은 이 부장판사가, 주심은 송 고법판사가 맡는다. 이 부장판사는 제주 서귀포 출신으로 제주제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했다. 1997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로 임관한 뒤 서울행정법원 판사, 제주지법 부장판사, 수원고법 부장판사 등을 거쳐 지난해 2월부터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근무하고 있다. 특히 이 부장판사는 2005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 2006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실 판사, 2021~2024년 사법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용훈·양승태 전 대법원장 재임 당시인 2010년~2012년에는 대법원장 비서실 판사로도 근무했다. 박 고법판사는 서울과학고등학교와 서울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했다. 2004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를 시작으로 서울서부지법 판사, 수원지법 판사, 부산지법 부장판사, 의정부지법 부장판사를 역임했고 올해 2월 서울고법에 부임했다. 송 고법판사는 부산서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2006년 서울중앙지법에서 판사 생활을 시작했다. 서울남부지법 판사, 부산지법 판사, 인천지법 판사 등을 거쳐 2022년 2월부터 서울고법에서 근무하고 있다. 김명수 대법원장 시절인 2019년~2022년에는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첫 파기환송심 15일...李 불복 뒤 재상고 가능성 커 파기환송심 첫 공판기일은 오는 15일 오후 2시로 지정됐다. 이날 사건이 배당된 지 약 한 시간 만에 재판부가 기일을 지정하면서 이 후보 사건은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파기환송심 선고 결과가 나오더라도 이 후보가 이에 불복해 대법원에 재상고할 것으로 보여 오는 6월 3일 대선 전 최종 판결이 나오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대법 전합은 전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상고심 선고기일을 열고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했다. 재판부는 이 후보가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과 골프를 쳤다는 의혹과 관련해 '사진이 조작됐다'는 취지로 한 발언, 백현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의 압박 내지는 협박이 있었다고 한 발언이 선거인의 정확한 판단을 그르칠 정도에 해당해 허위사실공표라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김씨를 하위직이라서 몰랐다는 발언과 함께 골프 발언을 듣는 일반 선거인으로서는 출장은 같이 갔지만 함께 간 해외줄장 기간에 골프를 치지는 않았다는 의미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며 "그런데 피고인은 김씨 등과 함께 간 출장 기간에 골프를 친 것이 사실이므로 이 발언은교유행위에 관한 허위사실 공표에 해당한다"고 판시했다. 또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을 들어 용도지역 변경을 압박했다'는 취지의 발언과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에 따르지 않으면 직무유기를 문제 삼겠다고 협박했다'는 취지의 발언은 사실의 공표이지 단순히 과장된 표현이거나 추상적인 의견 표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대법원 판결은 기속력이 있기 때문에 파기환송심은 이를 뒤집을 만한 중대한 증거가 새롭게 제시되지 않는 이상 대법원 판결 취지에 따라 이 후보에 대한 추가 양형 심리를 거쳐 유죄를 선고하게 된다. 이 후보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1심은 의원직 상실형인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바 있다.  shl22@newspim.com 2025-05-02 18:5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