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동훈 기자] 오는 2030년까지 세종시 신도시인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짓는데 총 107조원 정도가 투자될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 따르면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사업에는 사업종료기간인 오는 2030년까지 정부 예산(국비 8조5000억원)과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 예산(14조원) 총 22조5000억원과 주택 및 편의시설 등에 대한 민간투자(84조3000억원)를 합쳐 106조8000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투자금액(약 107조원)은 개발계획(34차 토지이용계획)에 명시된 시설별 용지면적과 1단계(2006~2015년)까지 실제 투입된 시설별 건축비를 근거로 산출됐다. 향후 개발계획 변경에 따라 다소 변동될 가능성도 있다.
민간투자 가운데는 행복도시 거주인구 목표인 50만명 주거시설에 대한 금액이 약 49조원으로 가장 많았다. 시설용도별 규모는 상가 등 편의시설(약 22조원) 의료·산업시설(약 4조원) 대학교 등 교육시설(약 3조5000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 |
이밖에 공급 및 기타시설(약 4조7000억원)과 정부출연 연구기관 및 산하기관(약 1조2000억원) 건설비용도 포함됐다.
지금까지 세종시 신도시 건설에는 약 29조원이 투입됐다. 이는 전체 투자규모(약 107조원)와 비교하면 지난해까지 도시 건설은 27.1% 완성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충재 행복청장은 “100조원 이상 투자되는 행복도시 건설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충청권의 건설경기를 부흥시키고 지역경제를 발전시키겠다”면서 “이는 곧 국토의 균형발전으로 이어져 국가경쟁력 강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