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취임식..."재생에너지 전환 위한 기상청 역할 확대 필요"
[서울=뉴스핌] 고다연 기자 = 이미선 신임 기상청장이 "기상청은 기후위기 감시와 예측을 총괄 지원하는 국가기관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다해야 한다"며 "기상청의 비전은 '과학 기반의 기후위기 대응 허브'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 청장은 18일 취임사를 통해 "지금 전 세계와 우리나라는 유례없는 기후위기를 맞이하고 있다"며 "폭염, 집중호우, 가뭄과 태풍은 더 이상 예외적 재난이 아니라 일상이 됐고 그 피해는 사회적 약자와 경제전반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고 있다"고 전했다.
![]() |
취임사하는 이미선 신임 기상청장 [사진=기상청] |
이 청장은 "첨단기술들을 이용해 기상·기후 감시·예측 체계를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며 인공지능, 고해상도 수치 모델, 위성·레이더 관측망 등 첨단 기술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국민이 체감하고 국민의 안전을 최전선에서 지켜내기 위한 예보와 특보체계의 발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지역특성, 재해영향 등에 따른 특보구역의 세분화, 기후변화와 도시화에 따른 열대야 증가에 따른 주의보 신설, 폭염기간 증가에 따른 폭염경보의 단계 확대, 호우특보 해제 예고, 최근 시간당 100mm 이상 극한 호우 빈발에 따른 긴급재난문자 강화 등 관계기관과도 소통하며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을 추진하고자 한다"고 강조헀다.
이 청장은 "기상청은 단순히 날씨를 예보하는 기관을 넘어 농업·산업·에너지·보건 등 각 분야 기후 리스크를 사전에 분석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과학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국가 파트너가 돼야 한다"며 "'국가 기후예측시스템' 개발에 차질이 없게 인프라를 보강해 나아가겠으며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를 통해 중앙정부 및 지자체가 마련하는 기후위기 적응 대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 기상청의 역할 확대가 필요하다"며 "기상청이 생산하고 있는 정밀한 수치예보와 AI를 바탕으로 기상자원지도와 바람과 일사량 예보를 고도화해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생산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지진조기경보 통보시간 단축과, 취약계층을 우선 지원하는 맞춤형 기상·기후 서비스도 확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gdy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