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8월 1일(현지시간)부터 브라질산 상품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자, 외교적 해법을 우선 모색하겠다고 밝히면서도 동일한 수준의 보복 관세로 맞대응할 수 있다고 10일 경고했다.
이날 현지 방송사 레코드TV와 인터뷰한 룰라 대통령은 "먼저 협상에 나서겠지만, 결렬될 경우 상호주의에 입각해 대응하겠다"며 "미국이 50% 관세를 매기면, 우리도 50%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사진=블룸버그통신] |
같은 날 브라질 주요 뉴스 프로그램인 '조르나우 나시오나우'와의 인터뷰에서는,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한 뒤 미국이 예고한 대로 8월 1일 관세를 부과하면 브라질도 같은 날부터 상응 조치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부터 적용할 상호관세 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추가로 발송했다며, 브라질엔 50%를 통보했다.
공개된 서한에는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이 재판에 계류 중인 상황은 "국제적인 불명예"라면서 "이 재판은 열려서는 안 된다. 마녀사냥은 즉시 끝나야 한다"고 적시됐다.
미국은 중국에 이은 브라질의 2위 무역 파트너국으로, 지난해 양국 간 무역 규모는 약 920억 달러였으며, 미국이 74억 달러 무역 흑자를 기록했다.
결국 이는 무역 불균형이 아닌 정치적 이유에서의 관세 부과인 셈이다. 50%는 가장 높은 상호관세율 수준이다.
룰라 대통령은 브라질 정부가 미국과의 통상 관계를 전면 재검토할 것이라며, 브라질 재계 인사들과 함께 대응 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 미국 햄버거값 오른다...美식품업계 "가격인상 불가피"
이번 관세는 브라질에도 타격이지만, 미국 소비자들도 고통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미국 식품업계와 원자재 시장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50% 관세가 햄버거에 사용되는 쇠고기 가격을 급등시키고 수입이 사실상 중단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미국은 국내 소 사육 두수 감소와 멕시코산 가축 수입 중단 등으로 공급이 위축된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브라질산 저지방 쇠고기를 수입해 자국산과 혼합, 햄버거 패티로 가공해 왔다.
미국 정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월까지 브라질산 쇠고기 수입량은 17만 5063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두 배 이상 급증했다. 이는 미국 전체 쇠고기 수입의 21%에 해당하는 규모다.
그러나 50% 관세가 실제로 부과되면 연말까지 브라질산 쇠고기 총관세율은 약 76%로 올라가며, 사실상 수입이 중단될 것으로 예상된다.
쇠고기 수입 업계의 컨설턴트인 밥 추디는 로이터 통신에 "관세율이 수정되지 않는다면 브라질산 쇠고기 수입은 중단될 것이다. 단 1파운드(1lb=0.45kg)도 들어오지 않을 것"이라며 "오늘도 이미 시장이 얼어붙었다"고 말했다.
일부 업계는 호주·아르헨티나·파라과이·우루과이 등 대체 수입처를 모색 중이지만, 브라질보다 비용이 더 높아 가격 인상은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쇠고기뿐이 아니다. 미국은 브라질로부터 커피, 오렌지쥬스, 설탕, 에탄올 등을 많이 수입한다. 특히 미국 커피 가공업체들은 브라질산 커피 원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고율 관세 적용시 브라질산 커피 수입 역시 사실상 끊길 수 있다.
로이터가 취재한 소식통들은 "미국 커피 로스터들이 50% 높은 가격을 감당하기 어렵고, 브라질 수출업체들도 그 수준에 맞춰 가격을 낮추기는 불가능하다"며, "결국 미국 커피업체들은 다른 나라에서 원두를 조달해야 한다"고 알렸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