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온도 35도 넘으면 공사 중단...냉방비 200억 긴급 지원
김동연 지사 "폭염은 재난, 도민 생명과 일상 보호에 행정역량 총동원"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연일 이어지는 극한 폭염에 경기도가 긴급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11일 오후 5시 기준 도내 30개 시군에 폭염경보, 1곳(포천)에 폭염주의보가 발령 중인 가운데 누적 온열질환자는 290명에 달하고 가축 5만 마리 이상이 폐사한 것으로 집계됐다.
![]() |
물놀이형 수경시설. [사진=경기도] |
경기도는 11일 발표한 일일 폭염대처 보고에서 폭염을 '일상 위협 재난'으로 판단하고 ▲건설현장 작업중지 ▲냉방비 긴급 지원 ▲쉼터 운영 강화 ▲현장 점검 확대 등 5대 분야 긴급대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온열질환자 290명...사망 1명, 가축 5만두 폐사
도에 따르면 7월 10일 하루 동안 온열질환자가 29명 추가 발생해 누계는 290명으로 증가했다.
지난 3일 이천에서는 80대 남성이 산소 제초작업 중 열사병으로 사망한 바 있으며 이날 기준 가축피해는 41건, 폐사 5만184두로 잠정 집계됐다.
온열질환자는 열탈진(182명), 열사병(45명), 열경련(41명), 열실신(20명) 등이며 발생 장소는 실외(234건)가 실내(108건)의 두 배를 넘는다. 특히 작업장, 논밭, 공원 등 야외 근로·활동 중 환자 발생이 집중되고 있다.
◆ '체감 35도 이상' 공사장 작업 중지...도·GH 발주 현장 적용
경기도는 공사장 근로자 보호를 위해 도와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발주한 72개 현장에 대해 체감온도 35도 이상 시 오후 2시~5시 작업 전면 중지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체감 33도 이상 시에는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이 의무화된다.
![]() |
경기도 폭염주의보 발효로 광명동굴 관광지에서 시민들을 위해 쿨링포그를 틀어주고 있다. [사진=뉴스핌 DB] |
도는 이를 민간·시군 발주 7000여 개 현장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대한건설협회 등 유관기관에 협조를 요청한 상태다.
◆ 취약계층 냉방비 200억, 무더위쉼터 운영비 15억 긴급 지원
도는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39만 가구에 가구당 5만 원씩 총 200억 원의 냉방비를 지원하고 8800여 개 무더위쉼터(경로당·복지회관)에 16만~49만 원씩 총 15억 원의 운영비를 지급한다. 냉방시설 부족에 따른 실효성을 보완하기 위한 조치다.
현재 도내 운영 중인 무더위쉼터는 8300개소, 이동노동자 쉼터 32개소, 소방서 쉼터 207개소이며 이날 하루에도 쉼터 2442곳에 대한 점검이 이뤄졌다. 살수차 126대는 도로 3183km를 순회하며 기온 저감 활동을 벌였다.
◆ 노숙인·야외노동자 등 3대 취약 분야 집중 관리
도는 노동안전지킴이 112명과 자율방재단, 의용소방대 등을 통해 옥외작업장 300곳, 영농현장 10곳 점검 등 193건의 현장 관리 활동을 벌였고 폭염 예방 문자 2만5928건 발송, 농업인 현장 기술지원 107건도 병행됐다.
노숙인 밀집 지역 순찰은 44회 진행됐으며 독거노인·고령층 등 취약노인 8만2435명에 대한 안부 확인(방문·전화)이 이뤄졌다.
![]() |
경기도 폭염주의보에 안양시 시내 횡단보도 앞에 설치된 그늘막 모습. [사진=뉴스핌 DB] |
경기도는 이날까지 총 17회의 긴급재난문자를 발송(도 1회, 시군 16회)했으며 4만7000여 대의 미디어보드를 활용해 야외 활동 자제, 수분 섭취, 그늘 쉼터 이용 등 폭염 안전수칙을 홍보하고 있다.
경기도는 도 재난안전대책본부 2단계를 가동 중이며 31개 시군과 협력해 총 404명의 폭염 대응 인력을 운용하고 있다.
김동연 지사는 앞서 "폭염도 명백한 재난"이라며 "도민의 생명과 일상을 지키기 위해 도정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