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및 기업, 광고 등 사칭 수법 다수
사회 트렌드 악용 스미싱 등장, 사용자 주의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는 점차 정교해지는 스미싱 대응을 위해 올해 상반기 동안 'AI 스미싱 문자 확인' 서비스를 통해 수집된 스미싱(피싱 문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2025년 상반기 스미싱 문구 유형 통계'를 9일 발표했다.
이번 통계는 지난해 12월 'AI 스미싱 문자 확인' 서비스 출시 이후 6개월간 접수된 약 3만7000건의 스미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카카오뱅크 AI데이터사이언스팀이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고 문구 유형별로 빈도수를 집계해 분석한 결과다.
![]() |
[사진=카카오뱅크] |
카카오뱅크 앱에서 의심되는 문자를 복사해 붙여넣기 하면 '스미싱 위험이 높은 문자', '안전한 문자', '단순 스팸 문자', '판단이 불가능한 문자' 등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문자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올해 상반기 가장 많이 발생한 스미싱 문구 유형은 '개인정보 유출·수집 사칭'으로 37%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이어 ▲금융기관 사칭(19%) ▲기업 및 광고 사칭(18%) ▲청첩·부고 등 지인 사칭(12%) ▲과태료·범칙금 등 단속 사칭(10%) ▲기타(4%) 순으로 나타났다.
문구 유형별 상세 내용별로는, 개인정보 탈취는 '계정이 해킹됐으니 차단을 위해 링크를 클릭하라', '계정에 불안정한 활동이 확인됐으니 보안 인증을 완료하라', '개인정보 인증이 필요하다' 등 이용자의 불안감과 긴급함을 자극하는 문구가 주로 사용됐다.
금융기관 사칭은 '승인되지 않은 거래가 발생했다'거나 '환급금을 확인하라'는 문구가 포함된 메시지가 대표적이다. 실제 금융기관에서 온 문자로 착각하도록 교묘하게 구성된 사례가 많았고 특정 금융기관명을 언급하며 피싱 링크나 전화번호로 연결을 유도하는 경우도 자주 확인됐다.
기업이나 광고를 사칭한 문구로는 '무료 쿠폰 도착', '이벤트 당첨', '배송 확인 요청' 등이 있으며 실제 프로모션 문자처럼 보이도록 위장한 것이 특징이다.
사회적 관심이 높은 트렌드를 문구에 반영하기도 했다. 입시 시즌에는 '대학 합격 통보'나 '교육비 납입 증명서' 등과 같은 문구가 등장했고 '오징어게임 시리즈' 관련 내용을 활용한 사례도 포착됐다. '건강검진 결과통보' 등 평상시 관심이 높은 문구로 이용자를 유인하기도 했다.
카카오뱅크는 "스미싱 문자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수법 또한 점점 더 교묘해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문자를 받았을 경우 서비스를 통해 내용을 검증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