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증권·금융 증권

속보

더보기

외국인·기관, 국내 '반도체·2차전지' 대장주 집중 매수

기사입력 : 2020년02월17일 07:00

최종수정 : 2020년02월17일 07:55

디램 및 낸드플리시, 가격 지속적인 상승 기대
전기차 시대, 이미 거스를 수 없는 대세 종목

[서울=뉴스핌] 김유림 기자 = 지난주(2월 10~14일)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는 반도체와 2차전지 대장주를 대거 매수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에는 삼성전자, KODEX 200TR, 카카오, SK하이닉스, LG유플러스, 삼성전기, LG화학, 한진칼, 서울반도체, 엔씨소프트 등이 이름을 올렸다.

기관투자자들의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에는 삼성전자, 셀트리온, SK하이닉스, KODEX 레버리지,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LG화학, KODEX 200, 셀트리온헬스케어, 고려아연, 케이엠더블유 등이 차지했다.

지난 10~14일 기관투자자 순매수 상위 종목. [표=김유림 기자]

외국인과 기관은 국내 반도체 대장주이자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관심이 쏠렸다. 낸드플래시와 디램 등 양사의 주력 제품인 메모리 반도체의 공급가격이 상승할 것이란 기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8GB(기가바이트) 디램의 고정가격은 지난해 1월 6달러에서 계속 내려가 12월에는 2.81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달에는 2.84달러로 반등에 성공했다. 128GB 낸드플래시는 이미 지난해 6월 바닥을 찍은 후 12월까지 12% 상승했다.

최도연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디램 가격(+2%)과 낸드플래시 가격(+10%)이 동반 상승할 전망이며, 디램 가격 상승 폭은 더 커질 수도 있다"며 "재고는 디램과 낸드플래시 모두 정상 수준으로 복귀했으며, 올해 1분기 말부터 공급부족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최근 강한 서버 수요 회복에도, 디램 업체들의 공급 계획은 여전히 보수적이다"며 "수요 증가, 공급 제약 구간에 반도체 업황 방향성이 가장 뚜렷하다. 디램 가격은 오는 2분기부터 상승 폭을 확대할 전망이다"고 전했다.

지난 10~14일 외국인투자자 순매수 상위 종목. [표=김유림 기자]

또 외국인과 기관은 전기차 배터리 완제품 제조사 국내 1위 기업 LG화학도 순매수 상위 리스트에 담았다.

현재 전기차 판매량은 240만~260만대 수준으로 자동차 판매량 8500만대의 3.1% 남짓이지만, 2030년까지 연평균 22% 고속성장이 진행될 것이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이에 전기차 관련 종목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으며, 올해 LG화학 배터리부문의 가치 재평가 과정이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황규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LG화학의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점유율은 2019년 12~14%에서 2020년 30% 수준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회사의 전기차 배터리 매출 계획 10조원, 배터리팩 평균가격 136달러/kw를 적용하면, 연간 판매량 63GW(글로벌 수요량 210GW)를 얻을 수 있다. 본격 성장이 진행되는 유럽 시장에 45~50GW 규모의 배터리 공장을 선점해 놓고 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외형성장과 더불어, 전기차 배터리가 흑자로 돌아서며 수익 안착 국면에 접어들기 시작한다"며 "영업이익률은 설비가동률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데, 55% 수준이면 손익분기점 수준에 해당된다. 2020년 이후 LG화학 설비 가동률이 60~70% 수준으로 개선될 전망이다"고 덧붙였다.

 

urim@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콘클라베 첫날 교황 선출 실패...검은 연기 [뉴욕 런던=뉴스핌]김근철· 장일현 특파원=새 교황 선출을 위해 7일(현지시간) 시작된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 회의)에서 교황 선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날 오후 9시쯤 콘클라베가 열리고 있는 바티칸시티 시스티나 성당 굴뚝 위로 검은 연기가 피어올랐다. 이는 이번 콘클라베에 참여하는 추기경 133명의 첫 투표에서 선거인단 3분의 2 이상인 최소 89명의 지지를 얻은 후보가 없었다는 의미다. 새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가 열리고 있는 바티칸시티 시스티나 예배당의 지붕 굴뚝에서 7일(현지시간) 밤 교황 선출 실패를 알리는 검은 색 연기가 나오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kckim100@newspim.com 콘클라베에서 추기경단의 3분의 2 이상 지지로 새 교황이 선출되면 교황청은 투표 용지를 태워 시스티나 성당 굴뚝에 흰 연기를 피우고, 아니면 검은 연기로 투표 결과를 알린다. 첫날 회의에 새 교황 선출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추기경들은 시스티나 성당에 계속 머물면서 8일부터는 오전과 오후 각각 두 차례, 하루 최대 네 차례 투표해 제267대 교황을 뽑게 된다. 지난 2013년에는 다섯 번째 투표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출됐다. 콘클라베는 가톨릭 규정에 따라 교황이 선종한 뒤 15∼20일 사이에 시작한다. 콘클라베 방식의 교황 선출은 1274년 그레고리오 10세가 정립했다. 정치적 외압이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추기경들을 한곳에 몰아넣고 차기 교황을 뽑을 때까지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했다. 시스티나 성당은 19세기 후반부터 콘클라베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콘클라베에서는 모든 추기경이 후보인 동시에 유권자이다. 따로 후보를 정하지 않은 채 각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인물을 적어 내며, 3분의 2 이상 득표자가 나올 때까지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 벽화가 있는 제단 앞에서 비밀 투표를 반복한다. kckim100@newspim.com 2025-05-08 04:5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