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미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이번 주말(22~23일) 남아공 수도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 문제를 두고 20일(현지시간) 신경전을 벌였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이날 앞서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G20에 어떤 방식으로든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전해왔다"며 "입장을 바꾼 것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 |
| 올해 5월 2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도중 백인 농부 집단 살해 의혹 관련 자료를 들어보이는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에 대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라마포사 대통령이 '함부로 말하고 있다(running his mouth)'"고 비판했다.
레빗 대변인은 미국이 내년 의장국이기에 남아공 주재 대리대사인 마크 딜러드만을 파견해 회의 폐막식 참석을 담당하게 할 것이라면서도, "공식 회의에는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세계 최대 경제대국인 미국이 G20에 있어야 한다"며 미국의 참석 변화를 환영한다고 밝혔지만, 레빗 대변인의 발언 이후 남아공 대통령실 대변인은 소셜미디어에 "라마포사 대통령은 G20 의장국직을 미국의 대리대사에게 넘길 생각이 없다"고 반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미국 대표단을 보내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남아공에서 G20 회의가 열리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사유는 "백인 남아공 사람들이 대량 학살당하고 있다"는 근거 없는 인권 문제 제기였다. 며칠 뒤에는 J.D. 밴스 부통령이 참석할 것이라고 말했다가 다시 입장을 바꿨다.
회의 준비 과정에서도 미국의 불참이 이어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회의 참석자들에 따르면, 그간 기후 변화와 부채 지속가능성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수십 건의 사전 회의가 열렸지만 미국은 많은 회의를 건너뛰었다.
G20 공동성명은 만장일치를 필요로 한다. 남아공 정부는 미국이 이번 회의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이번 주말 정상회의에서 공동성명 채택을 강행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이에 미국은 "미국의 합의 부재를 반영한 의장 성명만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G20 정상회의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처음 열리는 회의이지만, 미국, 중국, 러시아 등 주요국 정상이 모두 불참을 통보하면서 큰 스포트라이트를 받진 못하게 됐다. 중국, 러시아 등도 최고 지도자 대신 대표단을 파견하기로 했다.
wonjc6@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