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오동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 처장이 채 상병 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에 피의자 신분으로 1일 출석했다.
오 처장은 이날 오전 9시 24분께 특검 사무실에 출석하며 직무유기 혐의를 인정하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정상적인 수사 활동 과정의 일"이라고 답했다.
![]() |
| 오동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사진=뉴스핌 DB] |
또 '(송창진 전 부장검사 위증 사건) 대검 통보를 1년이나 미룬 이유가 무엇이냐'라는 질문에는 "조사받으면서 그런 부분을 자세히 이야기하겠다"고 밝혔다.
오 처장은 송창진 전 공수처 부장검사가 채상병 사건과 관련해 국회에서 위증한 혐의로 고발당한 사건을 대검찰청에 1년가량 통보하지 않고 수사를 지연시킨 혐의(직무유기)를 받는다.
공수처법에는 '공수처장이 소속 검사의 범죄 혐의를 발견한 경우 관련 자료와 함께 이를 대검에 통보한다'고 돼 있다.
송 전 부장검사는 지난해 7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청문회에 출석해 "해병대 수사 외압 건에 이종호 전 블랙벌인베스트 대표가 연루된 사실을 몰랐다"고 말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송 전 부장검사가 당시 공수처 차장 대행으로서 채상병 사건에 대한 수사 진행 상황을 보고받고 있었던 만큼 해당 발언이 위증이라고 보고 송 전 부장검사를 공수처에 고발했다.
1년 가까이 사건을 대검에 통보하지 않던 공수처는 지난 7월에야 해당 사건을 특검팀에 이첩했다.
특검팀은 공수처가 민주당 의원들로부터 지난해 8월 고발장을 접수한 뒤 며칠 지나지 않아 송 전 부장검사가 무죄라는 취지의 보고서를 작성한 정황도 파악했다.
해당 보고서는 송 전 부장검사 사건을 담당했던 박석일 전 수사3부장 검사가 작성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검팀은 공수처가 고의로 송 전 부장검사 위증 사건 대검 통보를 늦추는 등 직무를 유기했다고 보고 오 처장과 이재승 공수처 차장검사, 박석일 전 수사3부장검사를 입건해 수사하고 있다.
이날 오 처장에게 송 전 부장검사를 감싸주기 위해 대검 통보를 미룬 것인지, 송 전 부장검사에 대한 수사가 시작되기 전부터 공수처가 사전에 무죄로 결론 지은 것은 아닌지 등을 물을 것으로 예상된다.
송 전 부장검사는 이른바 '친윤 검사'로 분류된다. 2009년에는 대구지검에서, 2011년에는 대검 중앙수사부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함께 근무했다. 윤 전 대통령처럼 '특수통' 검사이기도 하다.
아울러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과 관련해 이종호 전 블랙벌인베스트 대표도 이날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다.
호송차에서 내린 이 전 대표는 임 전 사단장과 여전히 모르는 사이라는 입장인지 묻는 취재진에 "제가 임 전 사단장을 만난 적도 없고 구명 로비를 한 적도 없다"며 "황당한 얘기"라고 말했다.
두 사람을 술자리에서 봤다는 참고인 진술에 대해서는 "그들이 어떤 이유로 허위 진술을 했는지는 다 밝혀질 것"이라고 했다.
앞서 배우 박성웅씨 등 다수의 참고인은 이 전 대표와 임 전 사단장이 과거부터 친분을 이어왔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진다.
특검팀은 이 전 대표가 임 전 사단장을 채상병 순직 사건의 혐의자 목록에서 제외되는 과정에 외압을 행사한 것으로 보고있다.
이 전 대표는 지난 8월 측근 A씨와 함께 한강변에서 휴대전화를 파손하려 한 혐의로도 입건됐고, 김건희 특검팀 수사 과정에서 변호사법 위반 혐의가 드러나 구속기소 되기도 했다.
이 전 대표는 도이치모터스 2차 주가조작 시기 김건희 여사의 계좌를 직접 관리해 준 인물이다. 김 여사의 최측근으로 알려진다.
chogiza@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