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손지호 기자 = 지구촌에 닥친 역대급 폭염에 스포츠계가 대비에 나섰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이상 기온에 시달리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8일 서울 기온은 37.1도까지 올라 종전 7월 상순 기온 기록인 1939년 7월 9일 36.8도를 86년 만에 경신했다. 폭염은 한국뿐만이 아니라 전세계를 휘청이게 하고 있다.
![]() |
[서울=뉴스핌] 손지호 기자 = 광주 기아 챔피언스필드에 만원 관중이 들어찬 모습. [사진=KIA] 2025.07.09 thswlgh50@newspim.com |
무더위는 선수의 경기 체력과 집중력부터 대회 일정과 운영 전반까지 영향을 준다. 불볕더위에 스포츠계도 발 빠르게 대비책 마련에 나섰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은 9일 폭염 대비 대책 회의를 열고, 온열질환 발생 시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프로 야구장 클리닝 타임을 4분에서 최대 10분으로 늘리고, 9월 초중순 일요일 경기 개시 시각은 오후 2시에서 5시로 변경했다.
![]() |
[필라델피아 로이터=뉴스핌] 손지호 기자 = 유벤투스의 프란시스코 콘세이상이 경기 시작 전 얼굴에 물을 뿌리고 있다. 2025.07.01 thswlgh50@newspim.com |
2025 국제축구연맹(FIFA) 클럽월드컵 역시 찜통더위속에서 진행되고 있다. 열돔 현상으로 미국 동부 지역에 30도 중반을 웃도는 불볕더위가 이어졌고, 지난달 24일에는 뉴욕이 39도까지 올라 역대 6월 최고 기온을 경신하기도 했다.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대륙 역시 마찬가지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스페인)의 미드필더 마르코스 요렌테는 대회 첫 경기를 마치고 "경기를 뛸 수 없는 날씨다. 끔찍한 무더위"라고 토로했다. 도르트문트(독일)는 조별리그 경기 중 무더위로 교체 자원들이 라커룸에서 대기했고, 첼시(잉글랜드)는 아예 훈련을 진행하지 못했다. 레알 마드리드(스페인)와 유벤투스(이탈리아)의 16강전은 고온과 70%의 습도 속에 치러졌다.
벌써부터 내년 북중미 월드컵에 대한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폭염으로 인해 축구계에서는 "월드컵 결승이라도 아침 시간대로 재편성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좋은 해결책"이라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 |
[내슈빌 로이터=뉴스핌] 손지호 기자 = 카를로스 팔라시오스가 클럽월드컵 조별리그 오클랜드 시티전에서 경기가 잠시 중단된 동안 스프링클러를 사용해 열을 식히고 있다. 2025.06.25 thswlgh50@newspim.com 2025.07.01 thswlgh50@newspim.com |
축구계는 나날이 심화되는 폭염에 대비한 제도를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국제축구평의회(IFAB)의 축구 규칙 제7조 '경기 시간' 조항에 "의료 목적의 일시적 중단으로서 드링크 브레이크와 쿨링 브레이크가 대회 규정에 따라 허용될 수 있다"고 규정해 더위로부터 선수 보호를 하고 있다.
드링크 브레이크는 음료를 마시며 짧게 숨을 돌리는 1분 이내의 시간이다. 선수들의 탈수를 막고 경기력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심판 재량에 따라 언제든 실시 가능하다. 지난 7일 용인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에서도 드링크 브레이크가 적용됐다.
쿨링 브레이크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선수들의 체온 상승과 열사병 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다. 소요 시간은 90초에서 3분 사이로 드링크 브레이크보다 길며, 정식 경기 시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 |
[신시내티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울산 트로야크가 26일 FIFA 클럽월드컵 F조 조별리그 3차전에서 더위에 지친 듯 땀을 딲고 있다. 2025.6.26 psoq1337@newspim.com |
국내프로축구 K리그도 규정에 따라 경기감독관의 판단에 따라 쿨링 브레이크를 실시하고 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경기 연기 및 중단 사유에 해당하는 악천후 유형에 폭염을 추가했다.
선수들을 포함해 리그, 구단, 팬들까지 모두가 여름나기 방법을 고민해야 하는 시대다.
thswlgh5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