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최헌규특파원의 금일중국] 경제난에 기술굴기 휘청, 벼랑에 내몰린 중국판 실리콘 밸리

기사입력 : 2019년11월25일 10:01

최종수정 : 2019년11월25일 16:05

경기침체 전자상거래가 비즈 환경 바꿔
역사가 되버린 중관춘 컴퓨터 상가
화창베이 전자 대신 화장품 도매시장 변신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중국 베이징(北京)은 요즘 오후 5시면 어두워진다. 빌딩 숲에 둘러쌓인 베이징 하이뎬(海淀)구 중관춘(中關村) 스타트업(창업)거리엔 훨씬 더 일찍 어둠이 찾아왔다. 24일 이른 저녁 창업거리 한 건물 2층에 자리한 처쿠카페(車庫咖啡). 넓은 공간에는 제법 많은 사람들이 삼삼오오 자리를 잡고 열심히 얘기를 나누고 있다.

카운터 직원에게 한국 매체 뉴스핌 기자라고 소개하고 중관춘 전자상가 취재를 가는 길에 최근 중관춘 스타트업 상황 알아보려고 잠깐 들렸다고 하자 "저기 자리의 아무에게든 가서 용건을 말하고 얘기를 나누라"고 귀뜸한다. 커피 값은 우리돈 5000 원 정도로 꽤 비싼 편이 었는데 안 시켜도 상관없다고 했다. 이곳은 당국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인큐베이터 및 창업자 교류 공간이라는 것이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24일 저녁 베이징 중관춘 창업거리 처쿠카페에 사람들이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2019.11.25 chk@newspim.com

혼자서 노트북 PC를 켜놓고 작업을 하는 손님에게 다가가 앉아도 되겠냐고 묻자 흔쾌히 수락한다. 자신을 리샤오밍(李小明)이라고 소개한 이 사람은 과기 창업 플랫폼 분야 예비 창업자였다. 전형적인 바링허우(1980년대 출생자)로서 박사 과정을 마쳤고, 전공은 양자 공학이라고 소개했다.

"무역전쟁 등으로 경제 하강이 심화하고 최근엔 부동산 경기가 냉각되면서 투자 자금이 마르고 스타트업 투자가 뚝 끊겼어요". 그는 2014~2015년 호황때만해도 하루에 수백 개 스타트업이 생겨났지만 지금은 열기가 급랭했다고 말한 뒤 카페 내부를 가리키며 "당시엔 지금보다 두세 배 많은 사람들이 북적였다"고 소개했다.

한참 얘기를 나누던 도중 옆자리에 혼자 있던 투촨원(涂傳文) 'MY GOD 과기' 창업자가 잔뜩 호기심을 보이며 우리 대화에 끼어들었다. 투 창업자는 "중관춘 창업 거리가 이럴 정도면 선전 상하이(上海) 스타트업 역시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장시(江西)성 난창(南昌)서 상경해 몇달째 이곳에 머물며 블록체인 분야 투자자를 물색중이라고 밝힌 투 창업자는 "지금은 왠만한 기술이나 아이디어가 아니면 자금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털어놨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쌀쌀한 날씨에다 최근 경제침체 탓인지 중관춘 창업거리가 행인들의 발길이 뚝 끊긴 채 한산한 모습을 하고 있다. 2019.11.25 chk@newspim.com

◆경제침체 투자 부진, 스타트업에도 타격

중관춘 전자상가에 가봐야겠다며 자리를 뜨려고 하자 리샤오밍 박사는 중관춘 경제를 대표하는 전자상가 경기도 스타트업과 크게 다르지 않다며 중관춘 대표상가 타이핑양(太平洋) 디지털 광장이 도산했다고 일러줬다. 이곳에 올 때 공유택시 디디다처 앱에 아무리 해도 '타이핑양 광장'이 입력이 안됐는데 그제서야 이유를 알만했다.

한때 디지털 경제 호황의 상징이었던 전자상가의 침체는 경제 자체 요인외에도 의식주 관련 모든 상거래가 온라인 전자 쇼핑몰로 이동하면서 심화됐다. 타오바오(淘寶網) 징둥(京東) 등 전자상거래에 밀려 오프라인 영업이 경쟁력을 잃었다는 얘기다. "샤오미 비즈니스 모델(제조업체들의 온라인 판매)이 중관춘의 상업지도를 바꿔놓은 것이지요" 곁에 있던 투 창시자도 이렇게 한마디 거들었다.

저녁 6시 반, 이제 사위가 완전히 캄캄해졌다. 기온이 뚝 떨어진데다 베이징의 겨울 '명물'인 바람까지 매섭게 불어 첨단산업의 얼굴 베이징 중관춘 거리는 한층 스산하게 느껴진다. 도산했다는 중관춘 대로 저쪽의 '타이핑양 디지털 광장'은 불이 들어오지 않아 마치 유령건물 같아 보였다. 중관춘 전철역 입구 란저우뉴러우몐(蘭州牛肉麵·란저우식 소고기면)으로 간단히 요기를 마친 뒤 바로 옆 커마오(科貿) 전자상가에 들렀는데 초 역세권 상가임에도 별로 활기가 느껴지지 않는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베이징 중관춘 대로에 접한 디지탈기기 판매상가 커마오(科貿)플라자의 내부 전경. 2019.11.25 chk@newspim.com

중국인들은 '남쪽에 선전 화창베이(華强北)가 있다면 북에는 베이징 중관촌이 있다'고 말해왔다. '중국판 실리콘 밸리'의 타이틀을 놓고 치열하게 경합해온 곳으로 두 지역 모두 중국 첨단 IT 산업 발전의 메카라는 자부심이 대단했다. 신산업 뉴비즈니스가 부상하면서 세계적으로 유명세를 날렸던 중관춘과 화창베이 등지가 일부는 쇠퇴하고 일부는 비즈니스 색깔을 바꿔가고 있다.

중국 CCTV 2번 재경채널은 지난 22일 특집 기사에서 "검퓨터를 사기위해 중관춘이나 화창베이, 상하이의 쉬자후이(徐家汇)에 가는 것은 옛말이 됐다. 화창베이는 이제 화장품 도매시장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전했다.

방송에 따르면 중관춘 타이핑양 디지털 광장 폐업에 이어 2015년 '중관춘 e 세계', 2016년 하이룽 전자 몰(海龍電子城) 등 중관촌 전자 매장 빅 4가 모두 문을 닫았다. 반대로 이곳에서 싹을 틔운 류창둥(劉强東)의 징둥은 알리바바와 중국 전자상거래 천하를 양분, 전자시장 생태계를 뒤바꿔 놓고 있다.

중관춘과 '중국판 실리콘밸리' 경쟁을 벌여온 선전의 화창베이 역시 비즈니스 환경 변화와 경기침체로 고전하면서 변신을 강요받고 있다. 얼마전 투자 전문지 증권시보는 '화창베이 전자 거리가 번화한 시간인데도 고객 발길이 뜸해 적막감이 감돌 정도'라고 보도했다.

화창베이는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 개인 PC 보급이 확산되면서 전자 제품 영업에서 유례없는 호황을 누린 바 있다. '안사려면 뒷 손님 막지 말고 자리를 비켜라(不買就走, 別擋著後面客人)'. 당시 매장 주인들은 이런 말을 입에 달고 살았다고 업계 인사들은 밝히고 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선전시 디지털 제품의 메카 화창베이의 한 상가가 화장품 전용판매장이란 플래그를 달고 손님들을 끌고 있다. [사진=CCTV 재경 캡쳐]. 2019.11.25 chk@newspim.com

◆디지털의 메카 화장품 거리로 변신

실제 이때만해도 화창베이 거리는 유동인구만 50만명이 넘었으나 지금은 행인들의 발걸음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PC든 스마트폰이든 전엔 진품 같은 짝퉁을 싸게 사려고 화창베이를 찾았으나 지금은 소득 수준 향상과 국산 기술 굴기로 그 수요가 크게 줄었다.

전자상거래 발전 역시 화창베이 전자상가의 쇠퇴를 촉진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됐다. 화창베이는 혁신과 스타트업, 4차산업 핵심 기술로 돌파구를 열려고 하고 있으나 경기침체로 어려워진 자금 융통 때문에 이마저도 여의치 못한 상황이다.

화창베이의 대형 전자상가들은 전자 제품을 진열했던 매장에 화장품을 채워넣고 있다. CCTV 재경 채널은 '주민들이 최근엔 화창베이를 PC나 스마트폰 대신 화장품을 사러가는 곳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화창베이의 달라져가는 모습을 소개했다.

화창베이 거리의 대형 상가중에서도 밍퉁 디지털 몰(明通数码城)은 2019년 7월 가장 먼저 전자상가에서 화장품 도소매 몰로 전환한 곳으로 현재 500개 넘은 점포가 이곳에서 화장품 영업을 하고 있다. 영업이 호황을 보이자 인근 위안왕 디지털 몰(远望数码城)도 화장품 상가로 간판을 바꿔 달았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선전시 화창베이의 많은 상가가 화장품 매장으로 전업중인 가운데 한 화장품 매장 점원이 최근 화장품 판매가 50%나 늘었다고 소개하고 있다. [CCTV재경 캡쳐]. 2019.11.25 chk@newspim.com

현지 신문 난팡두스바오(南方都市報)는 "텐센트를 '잉태'하고 30여년간 50인이 넘는 억만 장자를 배출한 '중국 전자 제 1번지' 화창베이가 지금 화장품 판매 거리로 탈바꿈하고 있다고 전했다. 스마트폰은 많이 팔아도 이윤이 박한데 비해 화장품은 잘 팔리고 판매 이윤도 높다 보니 전업이 줄을 잇고 있다.

디지털의 메카 화창베이가 갑자기 세계 최고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 화장품 시장의 중심지로 거론되고 있다. 과거엔 IT제품을 가장 빠르고 싸게 구입할 수 있는 곳이었으나 어느새 세계적인 명품 화장품을 최고 싸게 구입할 수 있는 곳으로 바귀고 있다. 업계 소식통들은 화창베이에서는 왠만한 글로벌 명품 화장품을 공항 면제점 보다 싼 3분의 1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고 말한다.

중관춘과 화장베이 외에도 최근 몇년새 중국 각지의 디지털 전자단지 상가들이 마치 한 배를 탄 것 처럼 모두 같은 운명의 세태 변화를 겪고 있다. 상하이에서도 2015년 쉬자후이 디지털 몰(徐家匯數碼城)이 폐업한 데 이어 주요 전자기기 판매 상가들이 잇따라 간판을 내리고 있다. 중국 어느 지역에서든 디지털 기기'를 사기위해 오프라인 몰 전자 상가를 찾는 것은 점점 역사속의 낡은 풍경이 돼가고 있다.

ch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BTS 뷔, MLB 시구에 현지 중계진 극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방탄소년단(BTS) 뷔가 미국 메이저리그(MLB) 시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뷔는 26일(한국 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다저스타디움에서 열린 LA 다저스와 신시내티 레즈의 경기 시작에 앞서 시구자로 마운드에 올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방탄소년단 뷔. [사진=빅히트뮤직] 2025.08.26 alice09@newspim.com 방탄소년단의 히트곡 'MIC Drop'이 장내에 울려 퍼진 가운데, 뷔는 밝은 미소와 함께 멋진 시구를 선보였다. 이어 뷔는 마운드에 다시 깜짝 등장해 LA 다저스의 시그니처 캐치프레이즈인 "잇츠 타임 포 다저 베이스볼(It's time for Dodger baseball!)"을 힘차게 외쳐 현장 분위기를 달궜다. 이 멘트는 메이저리그의 전설적인 중계진 빈 스컬리가 LA 다저스의 경기 시작을 알릴 때 사용하던 문구다. 뷔는 센스 있게 이를 직접 외쳐 다저스타디움 전체를 열광의 도가니로 만들었다. 중계석에서는 "뷔는 글로벌 센세이션이다. 시구 소식을 발표하자마자 티켓 판매가 폭발적으로 늘었고 덕분에 정말 많은 관중이 경기장에 모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뷔가 시구자로 나온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예매 사이트 서버가 일시적으로 마비됐다. 온라인 티켓 판매 플랫폼 스텁허브에 따르면 이날 경기의 티켓 판매량은 평균 대비 5배 이상 급증했다. 중계진은 또한 뷔를 '의심할 여지 없는 초특급 스타'라고 칭하면서 그의 글로벌 브랜드 파워를 강조했다. 제구에 대해서는 "멋진 변화구를 던졌다. 당장 계약하자고 할 정도다"라고 극찬했다. 뷔는 소속사 빅히트 뮤직을 통해 "데뷔 초 멤버들과 함께 LA 다저스 경기를 본 적이 있다. 오랜만에 다시 이곳에 오니 그때의 기억이 나고 재밌었다. 데뷔 초의 추억이 서린 곳에서 시구를 해 즐거웠다"며 소감을 밝혔다. 이어 "다음에 또 좋은 기회가 온다면 더 제대로 배워서 다시 시구를 해보고 싶다. 아미(팬덤명) 분들과 야구 팬분들의 뜨거운 응원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고 덧붙였다. 뷔가 속한 방탄소년단은 오는 2026년 봄 컴백을 목표로 음악 작업 중이다. 신보 발매와 함께 대규모 월드투어를 개최할 예정이다. alice09@newspim.com 2025-08-26 15:52
사진
장동혁, 김문수 누르고 국힘 새 당 대표 [서울=뉴스핌] 박서영 기자 = 국민의힘 새 당 대표에 재선 장동혁 의원이 26일 당선됐다. 장동혁 신임 당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제6차 전당대회 결선에서 김문수 후보를 꺾고 당권을 거머쥐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국민의힘 장동혁, 김문수 당 대표 후보가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제6차 전당대회 결선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8.26 pangbin@newspim.com 이번 결선투표는 지난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 동안 추가 투표를 거친 후, 당원 선거인단 투표(8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20%)를 합산한 결과다.  장 대표는 22만301표 김 후보는 21만7935표를 각각 득표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22일 제6차 전당대회를 열고 투표 결과를 발표했으나 과반 이상의 득표자가 나오지 않아 김 후보와 장 후보의 결선 행이 확정됐다. 안철수 후보와 조경태 후보는 낙선했다. 당시 득표율 및 순위는 따로 공개되지 않았다. 앞서 최고위원에는 신동욱·김민수·양향자·김재원 후보가 당선됐다. 청년최고위원은 우재준 후보가 선출됐다. 국민의힘 지도부를 구성하는 최고위원 및 청년최고위원은 반탄(탄핵반대) 3명(신동욱·김민수·김재원)과 찬탄(탄핵찬성) 2명(양향자·우재준) 구도다. 장 대표와 최고위원, 청년최고위원의 임기는 이날부터 시작된다. seo00@newspim.com 2025-08-26 1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