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백현지 기자] 화두로 꼽히던 강남 개포동 구룡마을이 공영개발로 가닥이 잡히면서, 이제 강남의 마지막 판자촌으로 남은 달터마을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달터마을은 서울 강남구 개포2동 달터근린공원에 위치한 무허가 판자촌으로, 1978년부터 형성된 곳이다. 이후 1987년 개포고등학교를 지으면서 밀려난 이들이 모여들면서 지금의 집단 취락 지구로 변해 현재 288여 가구 660여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이 달터근린공원 정비를 두고 마을 주민과 서울시간의 신경전이 날카롭다.
당국은 지난 2007년 서울시의 주도로 달터마을 주민들의 이주를 시도했으나 이는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달터마을 주민들은 주거지를 해결해주지 않으면 나갈 수 없다는 입장다. 하지만 서울시는 애시당초 달터마을은 공원 부지를 무단으로 점거하고 거주하는 상황인 만큼 개발계획이 있을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보상대책도 당연히 없다고 밝히고 있다.
현재 달터마을은 달터근린공원 안에 위치해 있다는 특성 때문에 주택관리과가 아닌 공원녹지과가 관리하고 있다. 강남구에 따르면 이들 주택은 공원 안의 '무허가 지장물'로, 원칙적으로 증개축도 불가능하다.
반면 달터마을 주민 대부분은 달터마을에서 떠날 것을 예상하지만 그 이전에 반드시 주거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 마을 주민들의 주거지역으로서의 지위를 얻기 위한 노력도 꾸준히 병행해왔다. 주민들은 지난 2001년 주소를 얻기 위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으나 공원부지에 위치했다는 이유로 패소한 바 있다.
마을 주민 A씨는 “주민들은 개발을 바라지 않을 것”이라며 “가진 거라곤 이 집 하나밖에 없는데 지금까지 방치해놓고 이제와 나갈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하지만 비슷한 입장의 개포동 구룡마을이 결국 개발로 이어지면서 달터마을 주민들도 개발의 기대감을 갖고 있다. 자치회 이종태회장은 “짧은 시일 내는 아니더라도 개포주공아파트, 구룡마을 등의 개발의 여파가 달터마을까지 미칠 것”이라며 “그 때는 주민들에게 재정착할 집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자칫 달터마을도 구룡마을과 같은 투기 수요에 휘말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당국의 투기 대책도 함께 병행되고 있다. 현재 강남구는 보상을 노리는 투기수요가 달터마을로 전입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위탁업체를 파견해 마을로 유입되는 가구가 없는지 신축 건물이 없는지를 365일 감시하고 있다.
아울러 당국은 달터마을에 대해서도 개발 불가 방침을 분명히해 투기 수요 유입 가능성을 차단하고 있다. 강남구 공원녹지과 담당자는 “달터근린공원은 서울시 소유로 현재 개발 계획이 없다”고 못박았다.
서울시 역시 달터마을 주민에게 어떠한 보상을 약속하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푸른도시국 공원조성과 유재영 주무관은 “현재는 이주계획이 없으며 주민들이 공원부지를 무상 점거했기 때문에 어떠한 보상도 제시하기 힘들다”며 “철거시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 아무 조치도 취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수익률대회 1위 전문가 3인이 진행하는 고수익 증권방송!
▶검증된 전문가들의 실시간 증권방송 `와이즈핌`
[뉴스핌 Newspim]백현지 기자 (kyunji@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