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은 29일 상반기 실적 및 (주)두산 내 출판사업부문 분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두산은 상반기 동안 매출 8조 3000억원, 영업이익 7천 600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1896년 창업 이래 사상 최대이며, 지난해 동기 보다 각각 22%, 39% 향상된 것이다.
또 두산은 하반기 동안에도 지속적인 신흥시장 개척, 영업력 강화를 통해 당초 계획인 매출 23조원, 영업이익 2조100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두산의 상반기 실적 중 눈에 띄는 계열사는 두산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등 ISB 사업 분야다.
두산중공업은 그 동안 국내외에서 대형 EPC 발전 사업 수주, 아시아, 중동 지역 플랜트 사업 호조 등으로 올 상반기 동안 지난해 동기 보다 각각 33%, 72% 오른 2조3172억원의 매출과, 1805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특히 두산중공업은 올 상반기에 8200억원 규모의 태국 게코원 화력발전소 수주, 7000억원 상당의 미국 신형 원전 연속 수주 등 해외 발전사업의 호조로 올 한해 매출 5조7572억원, 영업이익 4514억원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도 중국과 신흥시장의 판매증가, 그리고 수익성 향상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지난해 보다 각각 24%, 47% 오른 2조7507억원, 3161억원을 달성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새로운 영업망 구축, 신규 딜러 영입 등을 통해 중남미 시장에서 지난해 동기 보다 134% 늘어난 매출을 올렸으며, CIS 지역에서도 매출 77% 향상 등 괄목할 성장을 이루었다.
이밖에 두산건설은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해운대 제니스, 청주 지웰시티 등 대형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매출이 실현되어 전년대비 15% 상승한 8431억원의 매출과 7% 상승한 50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조선사업 호황으로 사상최고의 실적을 이어가고 있는 두산엔진 역시 전년대비 33% 성장한 7585억원의 매출과 52% 오른 1146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주)두산도 주류 사업부문의 '처음처럼', 의류사업부문의 '폴로(Polo), 전자 사업부문의 FCCL 및 에폭시의 매출증가로 올 상반기 8885억원의 매출과 32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두산 관계자는 "중공업의 해외 플랜트 사업, 인프라코어의 중국시장 확대 및 신흥시장 진출 등의 사업 호조는 올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러한 성장세로 올 목표뿐 아니라 2015년 중기 목표인 매출 100조원, 영업이익 10조원, 해외 매출 비중 90%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주)두산은 부채비율 감소 등 지주회사 전환 요건을 충족시키는 한편, 전자, 주류 등 핵심사업 위주로 사업구조를 재편하기 위해 하반기 중에 (주)두산 내 출판사업부문 분할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출판사업부문은 분할에 따른 독립경영으로 경영효율성 및 전문성을 제고하고 창출되는 수익을 해당사업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사업의 집중력 제고 및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주)두산은 이번 분할을 통해 자산은 1756억원, 부채는 1619억원이 감축되며, 차입금은 1조0431억원에서 9932억원 으로 1039억원 감소하고 부채비율은 215%에서 196%로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