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십자, 다국적 제약사와 외자유치 협상..."독자생산 개발도 진행 중"
오는 2010년부터는 우리나라에서도 독감백신이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자원부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독감백신의 자립기반 구축을 위해 추진해 온 '독감백신 생산공장' 기공식이 14일 오전 11시 전남 화순 현지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국비 130억원을 포함, 총 570억5,000만원이 투입되는 이번 공장은 오는 2008년까지 설비구축을 마치고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는 세계 12번째 독감백신 자체생산국 대열에 오르게 된다.
현재 독감백신을 생산하는 나라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이탈리아,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체코, 호주, 일본 등 11개국이다.
산자부는 "연간 2,000만 도스(dose, 1회분) 규모로 착공돼 향후 5,000만 도스까지 증설할 계획에 있다"며 "수입대체효과는 물론 관련 산업의 수출산업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올해 독감백신은 1,203만7,000도스(2,770만달러)가 수입됐다.
한편 이번 사업의 민간사업자로 선정된 (주)녹십자는 기존 백신제조 설비도 모두 화순으로 이전할 계획이어서 200명 이상의 직접 고용효과도 창출된다.
또한 독감백신 생산에 소요되는 연 3,000만개의 유정란을 공급하기 위한 양계시스템 구축에 추가적인 고용효과가 발생하는 등 양계산업을 비롯한 관련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또한 클 것으로 보인다.
현재 녹십자는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유수의 다국적 제약사와 외자유치 및 기술제휴 협상을 추진하는 한편 녹십자의 자체 기술개발을 위해 독감백신 파일럿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독자적인 대량생산 기술 개발도 진행 중에 있다.
산자부는 "독감백신의 자립생산 기반 구축 및 국가 보건안보 확보를 위해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백신을 장기간 우선 구매하는 방안을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와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산자부는 "선진 각국에서도 자국 내 생산 독감백신을 정부에서 장기적으로 우선 구매를 보장함으로써 독감백신의 수급불안을 해소함은 물론 독감 대유행 등 국가 위기에 대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산업자원부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독감백신의 자립기반 구축을 위해 추진해 온 '독감백신 생산공장' 기공식이 14일 오전 11시 전남 화순 현지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국비 130억원을 포함, 총 570억5,000만원이 투입되는 이번 공장은 오는 2008년까지 설비구축을 마치고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는 세계 12번째 독감백신 자체생산국 대열에 오르게 된다.
현재 독감백신을 생산하는 나라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이탈리아,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체코, 호주, 일본 등 11개국이다.
산자부는 "연간 2,000만 도스(dose, 1회분) 규모로 착공돼 향후 5,000만 도스까지 증설할 계획에 있다"며 "수입대체효과는 물론 관련 산업의 수출산업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올해 독감백신은 1,203만7,000도스(2,770만달러)가 수입됐다.
한편 이번 사업의 민간사업자로 선정된 (주)녹십자는 기존 백신제조 설비도 모두 화순으로 이전할 계획이어서 200명 이상의 직접 고용효과도 창출된다.
또한 독감백신 생산에 소요되는 연 3,000만개의 유정란을 공급하기 위한 양계시스템 구축에 추가적인 고용효과가 발생하는 등 양계산업을 비롯한 관련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또한 클 것으로 보인다.
현재 녹십자는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유수의 다국적 제약사와 외자유치 및 기술제휴 협상을 추진하는 한편 녹십자의 자체 기술개발을 위해 독감백신 파일럿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독자적인 대량생산 기술 개발도 진행 중에 있다.
산자부는 "독감백신의 자립생산 기반 구축 및 국가 보건안보 확보를 위해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백신을 장기간 우선 구매하는 방안을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와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산자부는 "선진 각국에서도 자국 내 생산 독감백신을 정부에서 장기적으로 우선 구매를 보장함으로써 독감백신의 수급불안을 해소함은 물론 독감 대유행 등 국가 위기에 대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