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박 3일간 방미 마지막 일정
한화 인수 현지 조선소 찾아
"안보·경제·기술 한미동맹으로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 새장"
[서울=뉴스핌] 김종원 선임기자, 박찬제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오후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인 한화오션의 미국 필라델피아 필리조선소에서 한미동맹의 새 장을 힘차게 열어 나겠다고 선언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4시께 방미(訪美) 마지막 일정으로 미 해양청이 발주한 국가안보 다목적선 '스테이트 오브 메인함' 명명식에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축사에서 한미 간의 조선협력의 새 장을 열게 될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를 언급하면서 "대한민국과 미국이 함께 항해할 새로운 기회로 가득한 바다의 새 이름"이라고 힘줘 말했다.
![]() |
이재명(왼쪽 네번째)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필라델피아 한화오션 필리조선소에서 조선업을 상징하는 대형 골리앗 크레인을 배경으로 주요 참석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한화필리조선소 데이비드 김 대표, 조현 외교부 장관, 조시 샤피로 펜실베니아 주지사, 이 대통령,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김정관 산업부 장관, 토드 영 미 상원의원. [사진=KTV] |
이 대통령은 "이곳 필리조선소를 통해 72년 역사의 한미동맹은 안보동맹·경제동맹·기술동맹이 합쳐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의 새 장을 열게 될 것"이라고도 거듭 강조했다.
축사에 이어 이 대통령은 직접 흰색 안전모를 쓰고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을 비롯한 조시 샤피로 펜실베이니아 주지사 등과 함께 한화오션이 인수한 조선소 현장을 둘러봤다.
이 대통령은 스테이트 오브 메인함 건조 현장인 4번 도크 앞에서 이종무 조선소장 설명을 들었다.
![]() |
이재명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필라델피아 한화오션 필리조선소에서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인 한화 필리조선소에서 한미동맹의 새로운 지평이 열리길 기대한다'는 문구에 직접 서명 후 관계자들과 박수치고 있다. [사진=KTV] |
이 대통령은 김 부회장을 비롯한 한미 관계자들과 함께 660t급 대형 골리앗 크레인과 조립공장을 배경으로 마스가를 상징하는 야외 설치 방명록에 서명했다.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인 한화 필리조선소에서 한미동맹의 새로운 지평이 열리길 기대한다'는 문구를 남겼다.
이 대통령과 참석자들은 조선업 상징인 선박·함정 건조 대형 골리앗 크레인을 배경으로 "마스가" 구호를 다함께 외치며 기념사진도 찍었다. 이 대통령은 현지 조선소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직원들도 따뜻하게 악수하며 "고생이 많다"고 격려했다.
![]() |
이재명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필라델피아 한화오션 필리조선소에서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인 한화 필리조선소에서 한미동맹의 새로운 지평이 열리길 기대한다'는 문구에 직접 서명했다. [사진=KTV] |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인 미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오션 필리조선소 방미 현장 시찰에는 조현 외교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 데이비드 김 한화 필리조선소 대표 등이 동행했다. 미 측에서는 샤피로 주지사와 토드 영 상원의원 등이 함께했다.
이날 명명식을 한 스테이트 오브 메인함은 한화오션이 지난해 12월 필리조선소를 인수한 뒤 처음으로 완성한 대형 선박이다. 길이 160m, 높이 27m, 최대 700명이 탈 수 있다. 평시에는 해양대 사관생도 훈련용으로 쓰며 비상시 재난 대응과 구조 임무를 맡는다.
![]() |
이재명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필라델피아 한화오션 필리조선소에서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인 한화오션 필리조선소를 찾아 한미 협력으로 건조 중인 국가안보 다목적선 '스테이트 오브 메인함' 명명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KTV] |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선박은 한국의 조선 전문기업인 디섹(DSEC)이 설계와 기자재 조달부터 참여했다. 미국의 시설과 인력이 결합됐다. 대통령실은 "한미 간 조선협력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설명했다.
한화오션의 필리조선소는 1801년 미국 해군 조선소로 설립돼 1997년 민영조선소로 출범했다. 한화그룹이 국내 처음으로 미 현지 조선소를 지난해 12월 1억 달러(1400억원)에 인수했다.
한미 간의 선박과 함정의 유지·보수·정비(MRO)의 최일선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가 크다. 미 해군의 주력 함정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