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 한 번 인증하면 챗GPT·클로드 등 외부 AI 서비스에서 즉시 사용
개별 도구 인증 생략… 사용자 데이터 연동해 개인화된 AI 경험 제공
일정 조회·카카오톡 메시지 전송 등 실제 서비스 호출 가능한 연동 사례 확장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카카오가 MCP(Model Context Protocol) 기반 개방형 플랫폼 'PlayMCP'에 이용자가 원하는 AI 도구를 모아 외부 서비스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함' 기능을 도입했다고 24일 밝혔다.
PlayMCP는 AI 모델이 외부 도구와 안전하게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지난 7월 베타 공개 이후 개발자와 이용자들 사이에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MCP는 인공지능 모델이 외부 데이터와 도구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규약이다. 이를 이용하면 여러 서비스를 오가지 않아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서 필요한 기능을 직접 호출할 수 있어 에이전틱 AI 구현에 적합하다. 카카오는 국내 최초로 PlayMCP를 도입해 관련 생태계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 |
| [사진=카카오] |
이번에 도입된 도구함 기능을 활용하면 이용자는 PlayMCP에 등록된 다수의 MCP 도구 가운데 원하는 항목을 직접 선택해 한곳에서 관리할 수 있다. 선택한 도구들은 챗GPT나 클로드 같은 외부 AI 서비스에서도 카카오 계정 한 번만 인증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도구 연동 방식도 간소화됐다. PlayMCP 사이트에서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한 뒤 원하는 도구를 담아두면, 챗GPT의 '개발자 모드'에서 MCP 서버 URL을 등록해 인증 절차를 마치는 즉시 기능 활용이 가능하다. 클로드의 경우 '설정→커스텀 커넥터' 메뉴에서 PlayMCP를 연결하면 된다. 두 서비스 모두 한 번 인증하면 도구함에 담긴 모든 MCP 도구를 즉시 호출할 수 있다.
도구함은 개별 도구 인증 없이 카카오 계정만으로 모든 MCP 등록 도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실제 카카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정 확인·메시지 전송 등 개인화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평가된다. 예컨대 "오늘 일정 알려줘", "내가 받은 선물 목록 보여줘", "방금 내용을 카카오톡 채팅방에 보내줘" 같은 요청을 외부 AI 서비스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카카오는 향후 도구함을 통해 자사 서비스뿐 아니라 다양한 외부 파트너 MCP 도구까지 연동 범위를 넓혀 PlayMCP를 국내외 AI 생태계의 허브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개발자와 이용자가 손쉽게 AI 기능을 확장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기술 기반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유용하 카카오 AI에이전트플랫폼 성과리더는 "PlayMCP에 추가된 도구함 기능은 AI가 단순한 대화 상대를 넘어 사용자의 실제 일상을 이해하고 실행하는 '일상 AI'로 진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개발자와 이용자가 에이전틱 AI 경험을 보다 확장해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플랫폼을 고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