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11월 10일 오전 06시0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 주요 증권∙경제 전문 매체들은 금주(11월10일~11월16일) 중국증시와 관련해 눈여겨볼 만한 소식으로 △10월 소비·생산·투자지표 발표, 개선세 전망 △텐센트∙알리바바 등 중국테마주 3Q 실적 발표 △금주 A주 전망 "4000P 돌파, 신에너지 주목" 등을 꼽았다.
◆ 10월 소비·생산·투자지표 발표, 개선세 전망
1. 14일 국가통계국은 △제조업 동향 지표인 공업증가치(산업생산) △전자상거래∙백화점∙슈퍼마켓∙일반 소매점 등의 매출을 합산한 사회소비품소매총액(소매판매) △부동산∙제조업∙인프라 경기를 보여주는 고정자산투자 등 중국의 전반적인 경기동향 파악할 수 있는 실물경제 지표의 10월분 데이터를 공개할 예정.
2. 앞서 공개된 9월 사회소비품소매총액, 공업증가치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3.0%와 6.5%를 기록함. 1~9월 고정자산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0.5% 하락했고, 그 중 부동산 개발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13.9%의 낙폭을 보임.
![]() |
| [사진 = 중국 국가통계국] 사회소비품소매총액(소매판매)의 월간 성장률 추이. |
3. 중국 대형 투자은행(IB) 중금공사(中金公司∙CICC)는 10월 경제활동이 경기 안정화 정책의 영향을 받아 내수 관련 분야의 생산, 수요, 가격이 단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함.
생산 측면에서는 원자재 제조업 생산이 일부 회복되면서 공업증가치가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수요 측면에서는 내구소비재 교체 지원 정책이 자동차, 가전제품, 인테리어 및 주방·위생용품 소비를 촉진해 사회소비품소매총액의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전망함.
투자 측면에서는 인프라 투자가 비교적 높은 증가율을 이어가는 가운데, 부동산 투자 측면에서는 상품방(商品房, 분양주택과 상업용 점포 등 매매 가능한 모든 형태의 건물을 총칭) 거래면적의 감소 폭이 뚜렷하게 축소될 것으로 예상함.
전반적으로는 정부의 정책적 노력으로 4분기 성장세를 안정시키는 가운데, 경제활동이 단기적으로 안정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는 판단.
4. 중신증권(中信證券)은 10월 경제가 개선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공업증가치 증가율이 지속 상승할 것이며, 소비 부문에서는 내구소비재 교체 지원 정책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 사회소비품소매총액 증가율이 약 4.0%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내다봄.
투자 측면에서는 광의의 인프라 투자 증가율과 제조업 투자 증가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부동산 투자 감소폭은 다소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함. 이에 따라 전체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이 소폭 상승할 것이라는 판단.
![]() |
| [자료 = 중국국가통계국] 중국의 공업증가치(산업생산) 월간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추이. |
◆ 텐센트∙알리바바 등 중국테마주 3Q 실적 발표
1. 금주 미국증시와 중국∙홍콩증시에 동시 상장된 중국테마주(中概股, 해외 시장에 상장한 중국기업 종목) 다수가 3분기 실적 공개 예정.
2. 13일에는 텐센트(0700.HK/TCEHY.US), JD닷컴(징둥 9618.HK/JD.US), SMIC(중심국제집성전로제조, 688981.SH/SMI.US), 비리비리(9626.HK/BILI.US)가, 14일에는 알리바바(9988.HK/BABA.US), 메이퇀(3690.HK/MPNGY.US), 레전드홀딩스(레노버 3396.HK/LNVGY.US), 리오토(2015.HK/LI.US)가 실적 공개함.
3. 시장에서는 텐센트의 경우 3분기 영업수익(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약 14%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게임과 광고 사업이 양대 성장 동력의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함.
알리바바의 경우 전자상거래 사업의 회복 탄력성과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의 성장 잠재력을 3분기 실적을 통해 입증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어 그 결과가 주목됨.
홍콩증시 양대 스타 기술주인 두 거대 기업의 3분기 실적은 최근 중화권 증시의 핵심 투자 트렌드인 기술주의 향방을 가늠할 핵심 지표로 작용할 전망.
이밖에 메이퇀, 징둥 등 전자상거래 업계 기업들은 치열한 가격 경쟁의 시험대에 올라 있어 어떠한 3분기 성적표를 거뒀을 지 주목됨.
▶ 이슈 관련 주목할 종목 : 텐센트(0700.HK/TCEHY.US), 알리바바(9988.HK/BABA.US), SMIC(688981.SH/SMI.US) 등
![]() |
| [사진 = 텐센트 공식 홈페이지] 텐센트 건물 전경 |
◆ 금주 A주 전망 "4000P 돌파, 신에너지 주목"
1.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 산하의 데이터 산출 플랫폼 수쥐바오(數據寶)가 3500명 투자자를 대상으로 '다음주(11.10~11.14) A주 시장은 어떻게 움직일까?'라는 질문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23%는 매수 확대를, 18%는 매도 축소를, 5%는 전략 매도를, 나머지 54%는 보유 포지션을 유지하겠다고 응답함.
2. 금주 A주 향방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52%에 해당하는 1810명의 응답자는 4000포인트를 돌파하고 안정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함. 980명(28%)의 응답자는 4000포인트를 돌파한 뒤 다시 하락할 것으로, 나머지 20%의 응답자는 A주의 4000포인트 돌파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임.
3. 금주 A주 시장의 잠재력 있는 섹터와 투자 방향에 대한 조사에서, 신에너지 섹터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비율이 11%에서 20%로 9%포인트 상승, 응답자들이 금주 가장 주목하는 섹터로 꼽힘. 반면, 기술·의약·대형 금융 섹터의 긍정 평가 비율은 각각 5%포인트, 2%포인트, 2%포인트 하락해, 최신 비율은 각각 43%, 7%, 6%로 집계됨.
4. 11월 8일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국의 행동 백서' 발표하고, 탄소중립 정책을 확고히 추진하고, 신형 에너지저장 인프라 구축을 강화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명확히 함. 당국은 향후 5년간(2026~2030) 추진할 핵심 경제정책 방향인 '제15차 5개년 계획' 하에 신형 에너지 체계 구축과 에너지 강국 건설을 가속화할 전망.
5. 방정증권(方正證券)은 "신에너지 공급의 추가 확대는 여전히 중요한 경제의 기반이라면서, 신에너지와 전통 산업·전략적 신흥 산업의 융합을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요 확대의 핵심 경로"라고 진단함. 또한 풍력·태양광 등 각 세부 분야의 선도 기업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함.
pxx17@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