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대 vs 수익 현실화의 간극 커졌다
셧다운 장기화로 연준도 '눈 가리고 비행'
TGA 잔액 축소, 시장 유동성 빠르게 마른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가 기술주 급락 여파로 개장 전 거래에서 약세를 이어갔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던 시장이 고평가 부담과 경기 둔화 우려 속에 흔들리고 있다.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전날 일제히 하락한 뒤, 이날 선물시장에서도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미 동부시간 오전 7시 50분(한국시간 오후 9시 50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S&P500 E-미니 선물은 20.25포인트(0.32%) 내린 6726.00을 기록했다. 나스닥100 선물도 110.25포인트(0.44%) 하락한 2만5134.00에 거래 중이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 선물 4만6905.00으로 123.00포인트(0.26%) 하락하고 있다.
![]() |
| 뉴욕증권거래소의 한 트레이더가 경악하는 표정이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전날 나스닥지수는 1.9% 급락, 다우지수는 400포인트 하락했다. 월가의 주요 CEO들이 "기술주 중심 시장에 조정이 임박했다"고 경고한 직후였다.
◆ "AI 기대 vs 수익 현실화의 간극 커졌다"
올해 들어 AI 낙관론이 시장을 사상 최고치로 이끌었지만, 최근에는 AI 수익화 지연과 산업 내 '돌려쓰기식' 투자 구조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LPL파이낸셜의 토머스 쉽 리서치총괄은 "AI 기술이 미래에 얼마나 영향력 있고 수익성이 있을지에 대한 기대는 크지만, 현재 밸류에이션에 반영된 수준은 지나치게 높다"며 "시장 전체가 그 괴리와 씨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엔비디아(NASDAQ:NVDA) ▲AMD(AMD) ▲테슬라(TSLA) ▲마이크로소프트(MSFT) 등 주요 AI 대표주가 전날 일제히 하락했다. 특히 테슬라는 3.5% 급락했으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1조달러 규모 보상안 통과 소식에 장후 거래에서 0.2% 반등했으나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머스크가 "인텔과 칩 생산 협력을 논의할 가치가 있다"고 언급하면서 ▲인텔(INTC) 주가는 개장 전 소폭 상승하고 있다.
◆ "셧다운 장기화로 연준도 '눈 가리고 비행'"
셧다운이 37일째 이어지면서 미 노동통계국(BLS)의 공식 데이터가 두 달째 중단됐다. 이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와 시장은 민간 통계에 의존해 경제 상황을 가늠하고 있다.
미 민간 고용정보업체 챌린저 그레이 앤드 크리스마스에 따르면 10월 미국 기업 감원 규모는 15만3074명으로 22년 만에 최대치에 달했다. 이는 전월 대비 183% 급증한 수치다. 민간 인사분석업체 레벨리오 랩스는 10월 일자리 감소 규모가 9100개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2009년 이후 가장 빠른 해고 속도다.
이 같은 지표 부진에도 연준 내부에서는 여전히 의견이 엇갈린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은 12월 0.2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을 65~70% 수준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전월 82%에서 낮아졌다.
![]() |
|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연방 의회의사당. [사진=로이터 뉴스핌] |
◆ TGA 잔액 축소, 시장 유동성 빠르게 마른다
셧다운 장기화로 인한 시중의 유동성 고갈도 주식와 암호화폐 시장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미국 재무부의 신규 국채 발행이 제약을 받으면서 머니마켓펀드(MMF) 등에서 운용할 단기 자산이 부족해지고, 이는 단기 달러 수급 불균형으로 이어진다.
또한 정부 세입이 막히면 재무부 일반계정(TGA) 잔고가 줄어 민간부문으로 흘러가는 달러 공급이 축소된다. 이는 은행 시스템의 초과준비금을 감소시키고 단기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를 부추긴다. 월가에서는 이를 "TGA 드레인 효과"라 부르며, TGA 잔액 축소가 연준의 양적긴축(QT) 효과를 배가시킨다고 지적한다. 안그래도 고평가 논란에 휩싸인 증시에 셧다운 장기화가 이중 부담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예측 사이트 폴리마켓 예측시장에 따르면 셧다운 종료 시점은 11월 16일 이후가 가장 유력(확률 약 52%)으로 점쳐진다. 그보다 앞당겨 11월 8일~11일 구간 종료 가능성은 약 23% 수준에 불과하다.
◆ "연말 랠리 가능성은 여전"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증시의 연말 반등 가능성에 대해 여전히 낙관하고 있다. 루이스 나벨리에 나벨리에앤어소시에이츠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셧다운이 끝나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논란이 해소되면, 연말 랠리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두 주 뒤 발표될 엔비디아 실적이 AI 투자 심리를 되살릴 촉매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또 "현재 수준의 조정은 정상적인 범위이며 과도한 공포는 불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개장 전 거래에서 피트니스 기기업체 ▲펠로튼 인터랙티브(PTON)은 1분기 매출 호조로 5% 급등했다. 데이터 저장장치 제조사 ▲샌디스크(SNDK)는 3.9% 상승했다. 반면 결제 서비스업체 ▲블록(SQ)은 결제 경쟁 심화와 실적 부진으로 15.4% 폭락했다.
온라인 여행 플랫폼 ▲익스피디아그룹(EXPE)는 연간 매출 전망을 상향 조정하며 15.15% 급등했다. 비디오게임 개발사 ▲테이크투 인터랙티브(TTWO) 는 인기 게임 'GTA VI' 출시가 2026년 11월로 연기된다는 소식에 5.3% 하락했다.
3분기 실적 시즌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S&P500 상장사 424곳 중 83%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이는 2021년 2분기 이후 최고 비율이다.
koinwo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