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인수·실적 호조로 시장 분위기 '온기'
주요 지수 6개월 연속 상승… AI가 견인차
연준·경제지표 주목… 12월 금리 인하 기대 낮아져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 개장 전 주요 주가 선물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AI(인공지능) 수요 확대 기대,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업 실적 호조 등 복합 호재에 힘입어 투자 심리도 살아나고 있다. 특히 AI 관련주와 반도체주가 오름세를 주도했다.
미 동부 시간 오전 9시 20분(한국 시간 오후 11시 20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S&P500 E-미니 선물은 전장 대비 27.50포인트(0.40%) 상승한 6901.25에 거래됐다. 나스닥100 선물은 208.25포인트(0.80%) 뛴 2만6212.25를 가리킨 반면, 다우 선물은 11.00포인트(0.02%) 내린 4만7711.00에 거래되고 있다.
이번 주부터 미국에서 서머타임(일광절약시간제)이 해제되면서 뉴욕증시 정규 거래시간은 한국시간 기준 밤 11시 30분~다음날 오전 6시로 조정됐다.
![]() |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근무 중인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통신] |
◆ 오픈AI·AWS 대형 계약에 AI 랠리 재점화
이날 발표된 대규모 AI 공급 계약 소식에 그동안 제기됐던 'AI 거품론'이 한풀 꺾이며, 관련주 전반에 매수세가 확산됐다.
특히 오픈AI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380억달러(약 55조원) 규모의 클라우드 인프라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AI·반도체 업종 전반으로 투자 수요가 빠르게 유입됐다.
이 계약으로 오픈AI는 AWS 데이터센터에서 수십만 개의 엔비디아 GPU를 활용할 예정이다. ▲아마존(AMZN)의 주가는 개장 전 5% 급등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MSFT)가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엔비디아 칩을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출할 수 있는 허가를 받은 첫 기업으로 확인되며 AI 투자 기대감이 더욱 커졌다. MS는 2029년까지 UAE 인프라 투자 규모를 152억달러( 21조7000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같은 호재 속에 ▲엔비디아(NVDA)의 주가는 개장 전 2.2% 올랐고, ▲마이크론테크놀로지(MU) ▲AMD(AMD) 등 반도체 업종이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 대형 인수·실적 호조로 시장 분위기 '온기'
AI 외에도 대형 인수·합병(M&A) 소식과 주요 기업 실적 개선이 투자심리를 지탱했다. 해열제 '타이레놀'과 '밴드에이드' 제조사 ▲켄뷰(KVUE)는 킴벌리클라크(KMB)가 400억달러(약 55조원)에 회사를 인수하기로 하면서 프리마켓에서 18% 급등했다. 반면 킴벌리클라크는 14.8% 하락했다.
▲온세미컨덕터(ON)는 3분기 매출(15억5000만달러)과 조정 EPS(0.63달러)가 예상치를 웃돌며 프리마켓에서 주가가 3% 상승했다. ▲버크셔 해서웨이(BRK)는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00% 증가해 0.9% 올랐다.
![]() |
| 아마존웹서비스(AWS) 로고 [자료=블룸버그] |
◆ 주요 지수 6개월 연속 상승… AI가 견인차
S&P500은 10월까지 6개월 연속 상승, 나스닥은 7년 만의 최장 상승 기록을 세웠다. 이른바 '매그니피센트 세븐(M7)'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들이 AI 투자 확대를 발표하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실반트캐피털매니지먼트의 마이클 산소테라 최고투자책임자(CIO)는 "AI 테마를 넘어 비(非)기술 업종도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과 고용 불안 우려에도 미국 경제 펀더멘털은 예상보다 탄탄하다"고 평가했다.
◆ 연준·경제지표 주목… 12월 금리 인하 기대 낮아져
이번 주에는 ADP 민간고용보고서와 10월 ISM 제조업지수 등 주요 민간 지표가 발표될 예정이다. 미국 정부의 셧다운 여파로 공식 통계 발표가 지연되면서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12월 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은 69.3%, 일주일 전 90%보다 낮아졌다.
◆ 개장 전 특징주
이날 개장 전 거래에서는 데이터센터 운영업체 ▲아이렌(IREN)의 주가가 21% 폭등했다. MS와 97억달러 규모 엔비디아 GB300 GPU 공급 계약 체결 소식이 전해진 영향이다.
▲세이게이트(STX)와 ▲웨스턴디지털(WDC)은 삼성전자(005930)의 DDR5 가격 조정 지연 소식에 각각 1.3%, 1.5% 상승했고, ▲샌디스크(SNDK) 는 5.2% 올랐다.
월가의 유명 분석가인 톰 리 펀드스트랫 공동 창업자 겸 리서치 총책은 "AI 투자 가시성과 연준의 완화적 기조가 시장을 뒷받침하고 있다"며 "12월 1일 양적긴축(QT) 종료를 앞두고 11월 증시는 계절적 랠리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koinwo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