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인하 확실치 않다"… 파월 한마디에 투자심리 급랭
美 비트코인 ETF 11억달러 순유출… 기관 자금 이탈 뚜렷
"업토버 끝났다"… 시장, 관망세 전환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암호화폐 시장이 또다시 급락했다. 3일 전 세계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전일 대비 3%가량 줄며,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주요 종목이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비트코인은 11만달러 선이 무너진 뒤 10만7000달러대로 밀렸고, 이더리움은 3700달러도 뚫고 내려갔다. 하루 새 4억달러(약 5721억원) 규모의 롱(매수) 포지션이 청산되며 하락세가 가속됐다.
한국시간 오후 7시 55분 기준 비트코인(BTC)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3.0%가량 내린 10만7186달러선에서 거래됐고, 이더리움(ETH)은 3677달러로 4.8% 하락하고 있다.
![]() |
| 비트코인 가격 차트, 자료=야후 파이낸스, 2025.11.03 koinwon@newspim.com |
◆ "12월 인하 확실치 않다"… 파월 한마디에 투자심리 급랭
시장의 급락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매파적 발언이 직접적 계기로 작용했다. 연준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12월 추가 인하가 '기정사실(foregone conclusion)'은 아니다"고 말하며 시장의 기대를 꺾었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역시 "긴축 기조가 이미 일부 경기 둔화를 초래했다"며 "추가 인하 여력은 제한적"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CME 페드워치(FedWatch)에서 12월 금리 인하 확률은 69.3%로 낮아졌고, 미 달러화 강세와 함께 투자심리는 급속히 냉각됐다.
◆ 美 비트코인 ETF 11억달러 순유출… 기관 자금 이탈 뚜렷
투자심리 위축은 비트코인 현물 ETF(상장지수펀드)에서의 자금 이탈로 이어졌다. 시장조사업체 페어사이드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 내 비트코인 ETF에서는 총 11억5000만달러(약 1조6448억원)가 빠져나갔다. 특히 블랙록, 아크인베스트, 피델리티가 운용하는 대형 펀드에서 유출이 집중됐다.
전문가들은 "기관투자자들이 비트코인 연계 상품에서 차익실현에 나서며 위험 노출을 줄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16만명 '롱 청산'… BTC 10만6천달러 밑돌면 '60억달러 추가 청산' 우려
비트코인이 10만7500달러를 하회하자 연쇄적인 롱 포지션 청산이 발생했다.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4억달러(5721억원) 규모의 포지션이 정리됐고, 16만2000명 이상 트레이더가 손실을 입었다. 비트코인에서만 7460만달러(1067억원), 이더리움에서 8560만달러(1224억원)가 청산됐다.
시장분석가들은 "비트코인이 10만6000달러 아래로 떨어지면 추가로 60억달러 규모 청산이 발생할 수 있다"며 경고했다.
◆ 알트코인 '직격탄'… 유니스왑·도지코인 9% 급락
비트코인보다 알트코인 낙폭이 더 컸다. 상위 50개 코인 평균 낙폭이 4%를 넘었으며, 비트코인 점유율은 59% 수준으로 올라섰다. XRP(–5.6%) 바이낸스코인(BNB,–7.1%), 솔라나(SOL, -6.3%), 도지코인(DOGE,–7.6%) 등 알트 코인은 더욱 거센 낙폭을 보였다. 이는 트레이더들이 변동성이 큰 알트코인에서 '상대적 안전자산'인 비트코인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디파이 '밸런서(Balancer)' 1억달러 해킹… 3번째 보안사고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프로토콜 밸런서(Balancer)가 또 한 차례 대규모 해킹 공격을 받았다. 이번 공격은 플랫폼의 핵심 구조인 '금고(vault)' 시스템의 취약점을 노린 것으로, 프로젝트 신뢰도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온체인(블록체인상) 데이터 분석 결과, 해커는 약 1억1000만달러(약 1573억원) 상당의 디지털 자산을 외부 지갑으로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 자산에는 osETH(오픈소스 이더리움 스테이킹 토큰), WETH(랩드 이더리움), wstETH(스테이킹 이더리움 파생자산) 등 고가의 이더리움 기반 토큰이 포함돼 있다.
현재 피해 지갑은 여러 주소로 자산을 분산시키고 있으며, 일부는 믹서나 브리지(다른 블록체인으로의 이동)를 통해 자금세탁을 시도하는 정황도 포착됐다.
밸런서의 BAL 토큰은 하루 새 5% 넘게 급락했으며, 이는 2021년과 2023년에 이어 세 번째 보안사고다.
◆ "업토버 끝났다"… 시장, 관망세 전환
한편 시장에서는 업토버(비트코인·암호화폐 가격이 10월 계절적 강세를 보이는 경향) 기대가 사그러들며 관망세가 확산되고 있다.
Fx프로의 알렉스 쿠프치케비치 수석연구원은 "연준의 지원 신호가 사라지면서 암호화폐 시장은 다시 기술적 흐름에 기대고 있다"며 "비트코인이 11만3000달러선을 여러 차례 돌파하지 못한 것은 상승 모멘텀이 약해졌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그는 "10월 초의 이른바 '업토버' 랠리는 며칠 만에 끝났고, 이후 급격한 조정이 이어졌다"고 덧붙였다.
◆ "비트코인·금 동조화 강화"… 장기보유자 차익실현 확대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는 "6월 이후 장기보유자의 매도 규모가 3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9만3000달러 부근에서 매수했던 장기투자자들이 차익을 실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10월 현물 거래량은 3000억달러로 1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해 유동성은 여전히 높다.
한편 금 가격은 중국 정부가 일부 소매상에 대한 세금 환급을 중단하면서 온스당 4000달러 근처에서 보합세를 유지했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과 금이 통화정책·지정학적 변수에 동조하는 '헤지 자산 이중화' 흐름이 뚜렷하다"고 진단했다.
koinwo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