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 제조업 경기가 하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민간 조사기관 루이팅거우(瑞霆狗·RatingDog)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글로벌(S&P글로벌)이 3일 발표한 중국의 10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6이었다고 중국 증권시보가 이날 전했다. 루이팅거우 제조업 PMI는 9월 51.2였다. 전달 대비 0.6포인트(p) 하락한 것이다.
앞서 중국 국가통계국이 지난달 31일 발표한 10월 제조업 PMI 역시 전달 대비 0.8p 하락한 49.0을 기록했다. 국가통계국 제조업 PMI는 7개월 연속으로 50을 하회했다.
기업 구매 담당자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PMI 통계는 경기 동향을 보여 주는 지표다. 기준선인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위축 국면을 의미한다.
국가통계국이 집계하는 PMI는 국유기업과 대기업을 포함한다. 반면 루이팅거우의 PMI 조사는 수출기업과 중소기업을 위주로 한다.
국가통계국 PMI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 데 이어 루이팅거우의 PMI 역시 비슷한 폭으로 하락한 만큼, 중국 제조업 경기가 현재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야오위(姚煜) 루이팅거우 설립자는 "무역 불확실성이 커지며 신규 수출 주문이 급격히 위축 구간으로 떨어졌다"며 "생산 측면에서도 외부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생산 성장세를 억제했다"고 설명했다.
결국 미중 간의 관세 전쟁으로 인해 중소기업과 수출업자들의 제조 활동이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 미중 간 관세 전쟁 격화로 수출업자들이 재고를 서둘러 출하하면서 발생했던 효과가 약화함에 따라 중국의 성장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와 함께 미중 양국이 관세 휴전에 합의했다고 하더라도 양국 간의 무역은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우려로 작용하고 있다.
씨티그룹의 분석가들은 10월의 둔화는 중국의 8일간의 연휴, 관세 불확실성 점화, 성장 모멘텀 약화 등의 조건이 겹친 영향이라고 지적했다.
![]() |
| 루이팅거우 중국 제조업 PMI 추이 [사진=루이팅거우] |
ys174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