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1월 1일 한강버스 운행 재개 발표
이해식, 사고 은폐 및 안전시설 부족 지적
행안부, 조속한 안전검사 실시 약속
                        
                        [세종=뉴스핌] 나병주 인턴기자 = 다음 달 1일부터 운영을 재개하는 한강 버스에 대해 아직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3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행정안전부 대상 종합 국정감사에서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서울시가 잦은 고장과 안전 문제로 운항이 중단됐던 한강버스를 다음 달 1일부터 재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강버스는 아직 운항을 재개하기 위험하다"며 "이달 17일에 사고가 있었지만, 경찰서장이나 시장 등에게 전혀 보고되지 않았다. 어제 국토교통부 국감에서도 논란이 됐던 사항"이라고 지적했다.
|  | 
| 지난달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강에서 한강버스가 시범운항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핌DB] | 
전날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한강버스 사고 발생 및 사고 은폐 관련 기자회견'을 열어 해당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의원들은 이달 17일 오후 8시 45분 무탑승 시범 운항 중이던 한강버스 101호가 수면 위의 철제 부표와 충돌했지만, 서울시가 이를 은폐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서 자동 관제가 이뤄져야 하는데, 서울시는 현재 모두 육안으로 안전 문제를 감시하고 있다. VTS를 대체하기 위해 설치한 수상안전상황실도 CCTV를 육안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에 불과하다"며 "수상현장 안전관리를 위해 뽑은 수상안전보안관도 유명무실하다. 당초 서울시는 최소 40명을 뽑겠다고 했지만, 현재 6명만 있고, 사고 당일에는 이마저도 퇴근하고 없었다"고 지적했다.
안전사고에 대비한 훈련도 부실하게 이뤄지고 있었다. 이 의원은 "승객 8명이 수상에 입수했다거나 사진을 찍던 승객이 강으로 빠진다는 등 다소 경미한 사고를 예정하고 훈련을 진행했다"며 "총원 퇴선훈련도 199명이 타는 배에 10명만 데리고 훈련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 의원은 "배가 지나가는 교각 사이의 거리는 최소 87.5미터(m)가 돼야 하지만 17개 다리 중 8개가 이보다 간격이 좁아 구조적인 문제도 크다. 충돌 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고무 패킹도 교각 사이에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며 "잠수교는 수위가 올라가면 선박 통과가 불가능한데,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지판도 저녁 시간에는 제대로 확인하기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운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결국 이를 행안부가 감독해야 한다는 이 의원의 의견에 윤호중 장관은 "많은 문제가 지적됐다. 무엇보다 시민 안전 차원에서 안전검사나 감사 등 서울시와 협의해 조속히 진행하겠다"고 답변했다.
lahbj1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