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 공급 끊기자 울산·광주 공장 일부 중단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현대모비스의 생산 자회사들이 잇따라 파업에 들어가면서 현대차와 기아 일부 공장의 가동이 멈췄다.
관세 부담과 미국 내 근로자 구금 사태에 이어 부품업계 파업까지 겹치면서 국내 자동차 산업이 삼중고에 직면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모비스의 생산 전문 자회사인 모트라스와 유니투스 노조는 이날 오전부터 주야간 근무조별로 4시간씩 부분 파업에 돌입했다.
두 노조는 "조합원이 퇴사 의사를 밝히기 전까지는 고용을 보장해야 한다"며 100% 고용 보장과 완성차 수준의 기본급·성과급을 요구하고 있다.
![]() |
전국금속노동조합이 서울 서초구 현대자동차 본사 앞에서 '현대차의 계열사 통제,파업으로 돌파' 금속노조 결의대회를 연 가운데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스핌 DB] |
모트라스는 회사 측이 기본급 7만8000원 인상안을 내놨지만, 노조가 현대차 노사 합의안(10만원 인상)과의 격차를 문제 삼으며 파업을 강행했다. 모트라스 노조는 지난 7월 민주노총 총파업에도 동참한 바 있다.
파업 여파는 곧바로 완성차 생산라인에 미쳤다. 현대차 울산공장은 다수 라인의 가동률이 떨어졌고, 일부 라인은 멈춰 섰다. 모트라스가 공급하는 전자장치 모듈은 재고가 소진되자마자 조업 차질로 이어졌다. '적시생산방식'(JIT)을 채택한 자동차 생산 구조 특성상 부품 공급이 끊기면 즉각 영향을 받는다.
기아 오토랜드 광주도 이날 오후부터 1·2공장이 멈춰 섰다. 두 공장은 스포티지, 쏘울, 셀토스 등 하루 평균 1000대 안팎의 차량을 생산하지만, 전자장치 모듈 재고가 바닥나면서 라인이 서게 됐다. 1톤(t) 화물차를 만드는 3공장만 아직 가동 중이다.
![]() |
수출용 자동차 선적장 모습 [사진=현대차] |
국내 최대 부품사인 현대모비스의 자회사 파업으로 현대차·기아는 하루에만 수천 대 규모의 생산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2022년 모트라스와 유니투스를 출범시키며 전국 협력사를 통합했지만, 이번 파업으로 경영 효율화 전략에도 제동이 걸리게 됐다.
부품업계 일각에서는 완성차 업체가 핵심 부품을 자체 생산하는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미 현대차와 기아는 변속기·수소연료전지·배터리 등 전동화 부품 내재화를 추진 중이다.
지난해 현대트랜시스 파업 당시에도 현대차가 직접 차세대 하이브리드 변속기 생산에 나선 전례가 있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올해 임단협에서도 난항을 겪고 있다. 회사 측이 기본급 10만원 인상과 성과급 400%·1550만원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현대차 수준의 성과급을 요구하며 맞서고 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