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질문, 체계적 지원 필요 촉구
[무안=뉴스핌] 권차열 기자 = 전남의 전체 농업인 가운데 고령농업인 비율이 60%를 넘어선 가운데 청년농업인 지원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전남도의회에서 제기됐다.
18일 전남도의회에 따르면 김재철 의원(더불어민주)은 지난 17일 도정질문에서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과 관련 "지난해 영농 경험이 없는 예정자 비율이 80% 가까이 되고 2018년 이후 매년 10명 정도가 사업을 포기하고 있다"며 "포기자가 발생하고 영농 경험이 없는 청년들이 많기 때문에 지자체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한 데 의무사항 이행 점검에만 그치고 있는 게 아니냐"며 강하게 질타했다.
![]() |
전남도의회 김재철 의원(더불어민주당ㆍ보성1). [사진=전남도의회] 2025.09.18 chadol999@newspim.com |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경영체 등록정보'에 따르면 전남의 39세 이하 농업인은 2021년 1만 12명에서 2022년 9570명, 2023년 9230명, 2024년 8963명으로 감소했다. 반면 2024년 말 기준 65세 이상 농업인은 20만 1945명으로 6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 김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남도는 2018년부터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에 총 3230명을 선발해 지원한 가운데 97명이 사업을 포기했고 23명은 지원 자격이 박탈됐다.
김 의원은 "사업 지침에는 지원금 외 농지은행, 컨설팅 연계 지원, 시군 현장지원단 운영 등 다양한 제도가 마련돼 있지만, 실제로 현장지원단이 운영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박현식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현장지원단 운영에는 인력과 예산이 요구되는데 담당 공무원의 업무 부담으로 현재 가동되지 않고 있다"며 "앞으로 국비 지원을 요청하고 전문가 네트워크, 선도농업인 1대1 멘토링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이어 "신규 농업인은 창업을 위해 배울 게 많은 데 판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편"이라며 "친환경농업인 가운데 청년, 귀농인 현황을 파악하고 귀농창업교육이나 지원 사업을 통해 계약재배, 학교급식, 호남권친환경농산물종합물류센터, 생협 등 실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농사 경험이나 자본이 취약한 신규 농업인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안착할 수 있게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청년농 전담팀 구성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박현식 국장은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한 종합지원센터를 운영 중이며, 신규 농업인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단계별 지원제도를 마련하고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대책을 발굴하겠다"고 서면 답변했다.
chadol9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