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 '2025 중국-아시아포럼'...전문가들 "저성장·불황 대비" 한목소리
한국은 일본 닮은 꼴...'20년 시차' 저출산·고령화 구조 답습
日금융사, 장기불황 속에도 성장...산업·금융 전환 효과
[서울=뉴스핌] 전미옥·이나영 기자 = 저성장 시대에 직면한 한국이 대응 전략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미 20년 전 장기불황을 경험한 일본의 사례에서 해법을 찾고 저출산·고령화라는 공통 과제 해결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일본이 불황 속에서 모색한 금융혁신을 참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12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뉴스핌 주최로 열린 '2025 중국-아시아 포럼' 일본 세션에서는 하라 미츠루 일본 경제산업성 통상정책국 동북아과 한국실장과 박정훈 우리금융경영연구소장이 발표자로 나섰다.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하라 미츠루 일본 경제산업성 통상정책국 동북아과 한국실장이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제13회 2025 중국-아시아 포럼에서 '한일 경제 동향과 한중일 협력 가능성'을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이재명 정부, 아시아 실용외교의 방향과 성공의 길'을 주제로 중국, 일본, 인도,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들과의 경제, 문화 협력 상황을 점검하고 발전 방안을 찾는다. 2025.09.12 choipix16@newspim.com |
먼저 하라 미츠루 일본 경제산업성 통상정책국 동북아과 한국실장은 '한·일 경제동향과 한·일·중 경제 협력 가능성'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앞으로 한국경제는 과거 일본과 마찬가지로 본격적인 저성장 시대에 접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해 2022년 기준 한국의 고령화율은 17.5%로 일본(29.9%)보다 낮지만 2045년경에는 한국이 일본을 넘어설 전망이다.
그는 인구구조가 비슷한 양국의 협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진단했다. 하라 미츠루 실장은 "한국경제는 일본과 비교하면 약 20년의 시차가 난다"며 "한국과 일본 모두 저출산 고령화라는 공통 과제를 안고 있으므로 양국 교류를 통해 해법 찾아야 한다"고 피력했다.
박정훈 우리금융경영연구소장은 '일본경제 대전환과 한국의 교훈' 주제발표를 통해 일본의 금융 혁신 사례에 대해 소개했다. 일본은 버블경제가 붕괴된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약 30년간 명목 GDP 성장률이 연 0.4%에 그치며 저성장·저물가·저금리 상태를 이어왔다. 그런데 2022년부터 2024년 성장률이 연 3.6%로 급증하며 디플레이션 탈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박 소장은 "일본은 아베노믹스를 기점으로 정부 주도의 성장 전략과 금융 완화, 재정 확대 정책이 꾸준히 이어졌고, 기시다 내각 역시 '새로운 자본주의'를 표방하며 디지털 전환과 녹색전환(GX)를 중심으로 산업 구조를 바꿨다"며 "엔화 약세가 기업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면서 주가가 상승했고, 이 과정에서 고용 확대와 가계 소득 증가가 나타나 수요 견인형 인플레이션으로 전환되며 일본이 디플레이션을 벗어나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일본의 금융사들은 ▲고령화 대응을 위한 금융체계 구축 ▲기업금융 확대 ▲글로벌 진출 등을 통해 제 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 |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박정훈 우리금융경영연구소장이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2025 중국·아시아 포럼에서 '일본경제 대전환과 한국의 교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2025.09.12 mironj19@newspim.com |
박 소장은 "일본 금융권은 전통적인 대출 중심 모델에서 탈피해 전환금융, 부동산금융, 신성장금융 중심으로 전략을 옮기고 있다다"며 "신산업에 대한 정책금융, 은행·대기업·스타트업 연계를 강화하는 등 전방위적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한국의 저출산·고령화 속도는 일본보다 빠르다"면서도 "다행히 한국은 일본의 버블 시기와 대비 건전성 규제 수준 및 금융 불균형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박 소장은 "한국도 급속한 고령화와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 생산인구 감소, 투자부진, 신성장산업 육성의 과제를 안고 있다"며 "가계의 부동산 중심 자산구조를 금융자산 중심으로 전환하고, 이를 통해 장기자금 공급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