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명로비 의혹' 전직 해병 이관형도 피의자 출석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1일 수사외압 의혹과 관련해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과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에 들어갔다.
신 전 차관은 이날 오전 9시 58분께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신 전 차관은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는 주요 피의자로 전날 첫 소환조사를 받았다.
![]() |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1일 수사외압 의혹과 관련해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과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사진은 신 전 차관이 지난 10일 서울 서초구 순직 해병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출석하는 모습. [사진=뉴스핌 DB] |
그는 "어제(10일) 조사를 성실히 받았고 사실관계 등 필요한 설명은 했다"며 "나라와 군을 위해서라도 전체적 진실이 밝혀지길 기대하고 제가 아는 사실은 다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2023년 8월 2일 윤석열 전 대통령과 통화하고 대통령실에 갔다는 기사가 나왔다'는 지적에 "통화와 대통령실 방문은 별개고 그날 제가 세 번 (대통령실에) 갔을 것"이라며 "통화 이후에 간 건 다른 일 때문에 간 것이다. 그것과 전혀 관련 없다"고 설명했다.
신 전 차관은 '(2023년 8월 2일) 대통령실에서 윤 전 대통령을 따로 만나지 않았나'라고 묻자 "그렇다"고 답했다. 다만 당시 윤 전 대통령과 통화에서 어떤 내용을 주고받았느냐는 질문에는 "나중에"라며 답하지 않았다.
신 전 차관은 이른바 'VIP 격노'가 있었던 2023년 7월 31일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이 해병대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 받고 격노했다는 사실을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에게 전해 들었다고 알려졌다. 다만 신 전 차관은 임 전 비서관으로부터 그런 내용을 들은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특검팀은 신 전 차관이 윤 전 대통령의 격노 사실을 전달받고 채해병 사망사건 초동조사 기록 회수 과정 등에 개입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신 전 차관은 기록 회수가 이뤄진 2023년 8월 2일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박 전 보좌관은 이날 오전 9시 17분께 특검 사무실에 모습을 드러냈다. 특검팀은 지난 5일 박 전 보좌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및 모해위증 혐의 피의자로 입건했다.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참모진이었던 박진희 전 군사보좌관이 11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피의자 조사를 위해 출석하며 심경을 밝히고 있다. 2025.09.11 choipix16@newspim.com |
그는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된 것과 관련해 "지난 두 차례의 특검 소환조사에 성실히 임했고 제 휴대전화도 임의로 제출해 포렌식 하도록 했다"며 "특검이 요청한 수사기록도 자발적으로 제출하는 등 협조했다. 앞으로도 특검 수사에 회피하거나 방해할 목적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30여 년간 군 생활 동안 제 맡은 직책에 최선을 다했음에도 현재 피의자라는 이름으로 사단장이라는 자리에서 내려오게 돼 참 안타깝다"며 "앞으로 특검 소환에 성실히 임할 것이고 마지막으로 고 채상병의 명복을 빈다"고 덧붙였다.
박 전 보좌관은 2023년 7월 채해병 사망사건 발생 당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군사보좌관으로,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 등과 연락하며 수사 외압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박 전 보좌관은 또한 지난해 9월 3일 박정훈 대령의 항명 혐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 전 장관이 임 전 사단장을 혐의자에서 빼라고 언급한 사실이 있는지' 재판부가 묻자 '장관이 그렇게 얘기하는 것을 듣지 못했다'고 진술하는 등 위증한 혐의를 받는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구명로비 의혹에 연루된 '멋쟁해병 단체대화방' 참여자인 해병 출신 이관형 씨도 국회에서의증언·감정등에관한법률(국회증언감정법) 위반 및 위반교사 혐의 피의자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이씨는 이날 오전 9시 11시께 특검에 출석하며 "특검은 1900여개의 확보한 녹취파일 중 하나의 녹취만 짜깁기해서 위법하게 국회에 고발사주했다"고 주장했다.
hong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