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업재해 국가책임 실현 참여
김지사, 정책 안정화 위한 테스트베드 강조
경기도, 특별조직 구성 및 준비 강화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가 근로감독권 위임 정책의 '테스트베드'가 되겠다고 3일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의 의지에 따라 '산업재해 국가책임 실현'이 이번 정부의 국정과제로 채택됐으며, 고용노동부는 이를 위해 '근로감독권의 지방위임'을 추진하고 있다.
![]() |
3일 오후 경기도청 집무실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근로감독권 실행 전략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
이 자리에서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가 새로운 정책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새로운 제도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려면 경기도가 전국 지자체의 모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경기도는 이미 '노동안전지킴이' 제도를 통해 산업안전 관련 모니터링 경험을 쌓아 왔다. 이들 지킴이의 현장 개선율은 85.2%에 이른다('25.7월말 기준).
김 지사는 전략회의에서 '냉정한 준비'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뜨거운 아이스커피'처럼 접근해야 한다"면서, 생명과 안전을 지키려는 의지를 강하게 다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경기도는 행정2부지사를 단장으로 근로감독권 위임에 대비한 특별조직(합동 TF)을 구성했다. 김동연 지사는 결론적으로 "경기도가 테스트베드가 되어 노동자의 안전을 책임지는 동시에 기업도 위험요인을 줄여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전환점을 만들어 나가자"고 당부했다.
앞서 그는 8월 14일 의왕시의 한 건설공사 현장을 방문해 "일터에서 돌아오지 못하는 노동자가 없게 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여러 차례 표명한 바 있다. 경기도는 모든 노동자가 웃으며 일터에서 집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