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7일 '2025년 6월 인구동향' 발표
6월 합계출산율 0.76명…전년비 0.06명↑
6월·상반기 출생아 증가율 모두 역대 최대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지난 6월 출생아 수가 약 2만명에 육박하면서 12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출생아 수 증가 규모는 지난 2010년 이후 15년 만에 최대치를 경신했다. 증가율은 1981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 6월 출생아 전년비 1709명 증가…15년 만에 최대치 경신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6월 출생아 수는 1만9953명으로 1년 전보다 1709명(9.4%) 증가했다.
증가 규모인 1709명은 2010년 6월(1906명) 이후 15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증가율은 9.4%로 역대 6월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
![]() |
신생아. 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사진=뉴스핌DB] |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12개월째 전년 대비 플러스 흐름을 유지했다.
다만 통계청은 하반기까지 이런 플러스 기조가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통상적으로 출생아 수는 상반기에 늘고 하반기에 줄어드는 '상고하저' 흐름을 보인다.
이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보통 출생아 수는 하반기 들어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작년 하반기에는 많이 늘어났었다"며 "이런 흐름이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지를 지켜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올해 1~6월(상반기) 누계 출생아 수는 12만6001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8701명(7.4%) 늘었다.
상반기 기준으로 출생아 수가 12만명을 넘어선 것은 2023년 상반기(12만550명) 이후 2년 만이다.
상반기 증가율인 7.4%도 역대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치로 집계됐다.
![]() |
6월 합계출산율은 0.76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0.06명 증가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한다.
시도별로 보면 전년 동월과 비교해 제주를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증가했다.
출생아가 가장 많이 태어난 지역은 ▲경기(5925명) ▲서울(3573명) ▲인천(1282명) ▲부산(1114명) ▲경남(1095명) 등으로 집계됐다. 가장 적게 태어난 지역은 세종(229명)이었다.
상반기 출생아 수를 기준으로 봤을 때,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큰 지역은 12.1%를 기록한 인천(8150명)으로 나타났다. 충북(4095명·11.6%)과 대구(5440명·10.9%) 등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제주는 1637명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0.1% 하락했다.
출산 순위별 출생아 수 비중을 보면 전년 동월과 비교해 첫째아는 1.5%포인트(p) 증가했다. 반면 둘째아는 1.2%p, 셋째아는 0.3%p 각각 감소했다.
◆ 혼인건수 전년비 9.1%↑…"지자체 등 현금성 지원 영향"
6월 혼인건수는 1만8487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1539건(9.1%) 증가했다.
혼인건수는 2018년 6월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증가율은 2015년 6월 이후 10년 만에 최대치를 경신했다.
상반기 혼인건수는 11만7873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늘었다.
![]() |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140건이 접수돼 전년 동기(103건) 대비 35.9%가 증가했다. 사진은 결혼식 예시 사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이는 2019년(12만87건) 이후 가장 많은 건수다. 상반기 증가율은 지난해 상반기(8.2%)에 이어 역대 2위 수준을 기록했다.
시도별 혼인건수는 전년 동월과 비교해 서울·부산 등 11개 시도에서 늘어난 반면, 울산·세종 등 6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통계청은 혼인이 늘어난 배경에 대해 지방자치단체 등의 현금성 장려 정책이 있다고 분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대전의 경우 결혼을 하면 현금으로 500만원을 지원하는데, 이런 사실이 대전의 혼인 증가에 영향을 많이 주고 있다는 게 보였다"며 "다른 지역에서도 결혼 장려금 등을 지원하고 있고, 이 외에도 신혼부부 특례 등 여러 정책들이 있다. 이런 부분이 결혼뿐만 아니라 출산에도 이어져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6월 이혼건수는 6777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429건(-6.0%) 감소했다. 상반기 이혼건수는 4만2968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5.7% 줄었다.
시도별 이혼건수는 전년 동월과 비교해 서울·대전 등 4개 시도에서 증가했지만, 부산·대구 등 13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6월 사망자 수는 2만727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92명(1.5%) 증가했다.
시도별 사망자 수는 전년 동월에 비해 서울·부산 등 15개 시도에서 늘고, 울산·충남에서는 줄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6월 인구는 7317명 자연감소했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5만9460명을 기록했다. 우리나라 인구는 지난 2019년 11월 이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 |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