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대비 공원서 낮은 미세플라스틱 농도 확인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올해 봄 대기 중 1㎛(마이크로미터) 이상 미세플라스틱을 분석한 결과, 공원(약 103개/㎥)의 1m³당 미세플라스틱 개수가 서울 도심(약 238개/㎥) 대비 43.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공기의 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식생의 역할과 플라스틱 오염원의 유무, 저온다습한 미기후가 미세플라스틱 개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도출했다.
![]() |
식물 잎 표면에서 검출된 폴리에틸렌(PE) [사진=서울시] |
겨울철인 올해 2월 1m³당 공원의 대기 미세플라스틱 개수는 약 114개/㎥, 도심은 약 154개/㎥로 봄철에 비해 도심의 미세플라스틱 개수는 다소 적었지만 여전히 '공원'이 도심 대비 73.6%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는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원도시 서울' 정책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시는 2023년 '정원도시 서울' 비전 선포 후 올해 5월까지 정원 55만4064㎡, 총 790곳을 조성했다.
한국조경학회지에 게재된 '도시 근린공원 미세먼지 저감과 공간차폐율과의 관계' 연구 결과에서도 공원 중심은 입구와 비교해 온도는 1.05℃ 낮고, 미세먼지 감소율(PM2.5)은 17.65% 수준이라 보고하고 있다.
연구원은 올해 2월과 5월에 각각 미세먼지 채취 장치를 설치해 대기 시료를 수집했다. 포집된 시료에 대한 전처리 후, 2021년 처음 도입한 라만 분광기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의 개수와 종류를 분석했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앞으로 수도권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문제 공동 대응을 위해 다른 유관기관·수도권 지자체와 함께 연구·관리 협의체를 구축하고 다양한 신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박주성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국내 지자체 중 처음으로 공원과 도심 대기 중 '1㎛ 이상 미세플라스틱'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녹지가 미세플라스틱 저감과 대기질 정화에 효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유익한 환경 정보를 지속 분석, 제공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