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世界城市峰会市长论坛首尔开幕 共商包容性城市建设方案

기사입력 : 2023년09월27일 07:44

최종수정 : 2023년09월27일 07:44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纽斯频通讯社首尔9月27日电 韩国首尔市政府表示,24日至26日在东大门设计广场(DDP)举办第12届世界城市峰会市长论坛,为期三天。来自50个城市及国际组织的200名代表团相聚首尔,共商宜居、可持续的城市和扶弱同行的包容性城市建设方案。

世界城市峰会合影。【图片=首尔市政府提供】

首尔作为李光耀世界城市奖(Lee Kuan Yew World City Prize)获奖城市获得了市长论坛的举办权。本次市长论坛是疫情后在首尔举办的最大规模国际活动。除首尔市外,共有50个海外城市代表团出席了本次论坛(以9月23日信息为准)。

"李光耀世界城市奖"由新加坡市区重建局(URA)和宜居城市中心(CLC)共同主办,奖励努力创建宜居、可持续性城市环境的城市。2018年,首尔市荣获"李光耀世界城市奖",成为了2023年世界城市峰会市长论坛的举办地。

各个城市在世界城市峰会市长论坛上分享交流各自的优秀政策和实际案例,共同谋求包容性城市的未来发展方向。出席论坛的包括都柏林、欧登塞、惠灵顿、基辅等全球30个国家和地区的50座城市代表团(市长或副市长),以及联合国开发计划署(UNDP)、世界大都市协会(Metropolis)、亚马逊云服务(Amazon Web Services)等22个国际组织和外国企业代表团(以截至9月23日报名的城市和组织为准)。

世界城市峰会市长论坛于25日下午2时正式拉开帷幕。首尔市长吴世勋在开幕式上向访问首尔的50个城市代表团致欢迎辞,并作为首尔市代表发表主旨演讲。吴市长在主旨演讲中介绍了首尔市政府追求的核心价值即"扶弱同行"的代表性政策——"Seoul Learn"和"安心收入"的成果,介绍"扶弱同行"理念的可持续、包容性城市建设方案,号召全世界学习借鉴。

本次论坛为期两天,都柏林、苏州、台北等12城市长、副市长围绕4大主题介绍优秀政策案例。其中包括惠灵顿市长托里·瓦瑙(Tory Whanau)、都柏林市长戴思-德-罗伊斯特(Daithi de Roiste)、苏州市副市长季晶、台北市长蒋万安等。

首尔市政府计划,运营先进生活方式展览馆和首尔·新加坡政策展览馆,借海外城市和国际组织代表团相聚的机会,展示企业的创新产品,积极展现首尔作为"同行·魅力城市"的风采面貌。

首尔·新加坡政策展览馆设在东大门设计广场Art Hall,以"有韧性的包容性未来"为主题,介绍世界城市峰会市长论坛主办城市新加坡和举办城市首尔的核心政策。首尔市向来自各国城市代表团介绍的核心政策为"同行·魅力政策",共有8大项。其中,同行政策包括安心收入示范项目、Seoul Learn和Seoul Learn 4050、手腕上的医生9988、幸福爸妈项目,魅力政策包括书香首尔广场、SEOUL FESTA和The Lifestyle博览会、大汉江(Great Hangang)项目、元宇宙首尔。这些代表性政策都为首尔市民的生活带来了实实在在的变化。

先进生活方式展览馆设在东大门设计广场Design Lab 2楼的Open Lounge,主要展示27家公司的创新技术和产品。展览内容分五大主题,其中包括美容技术、智慧城市、机器人制造公司、城市问题解决方案、生物和AI(人工智能),展示美容、健康、智慧交通、防疫机器人等创新技术。这里宣传韩国企业的技术力量,并且结合首尔的先进生活方式,让参观者亲眼目睹首尔市民的生活方式变化。首尔市政府计划,让城市和企业代表团亲自体验这些技术和产品,支持优秀企业进军海外市场。

首尔市长吴世勋表示:"通过2023年世界城市峰会市长论坛,我们将与全球城市共享首尔市政府追求的核心价值即'扶弱同行'。"他还表示,"我们想要向来自50座城市的代表团介绍机器人、生物、智慧城市等行业的代表性创新型公司,向全世界宣传首尔的'先进生活方式'。"

首尔市长吴世勋称:"通过2023年世界城市峰会市长论坛将与全球城市共享首尔市政府追求的核心价值即'扶弱同行'。"他还表示,"向来自50座城市的代表团介绍机器人、生物、智慧城市等行业的代表性创新型公司,向全世界宣传首尔的'先进生活方式'。"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시진핑, 경주서 3일간 머문 뒤 떠나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방한 기간 중 머물렀던 경주 코오롱호텔에 감사 인사를 남기며 3일간의 일정을 마쳤다. 2일 호텔 측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전날 오후 3시 20분경 숙소를 떠나며 "잘 머물다 갑니다"라는 짧은 인사를 전했다. 그는 지난달 30일부터 사흘간 경주에 머물며 공식 일정을 소화했다. [경주=뉴스핌] 윤창빈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탑승한 훙치 N701이 30일 오후 경북 경주시 코오롱호텔로 들어가고 있다. 2025.10.30 pangbin@newspim.com 코오롱호텔은 객실 300여 개 규모의 대형 호텔로 시 주석 체류 기간 동안 일반 손님은 전혀 받지 않았다. 모든 객실은 중국 정부 수행단과 관계자들이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은 9층 객실에 머물렀으며 호텔 내 식당이나 부대시설은 이용하지 않고 대부분의 시간을 객실에서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식사 메뉴와 동선은 철저히 비공개로 유지됐다. 체류 내내 가장 강조된 부분은 보안이었다. 시 주석이 떠난 이후에도 코오롱호텔 주변은 여전히 긴장감이 감돌았다. 현장에는 경찰특공대가 배치돼 있었고, 장갑차가 주차장에 대기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호텔 진입로에는 철제 펜스와 가림막이 이중으로 설치돼 외부에서는 차량의 이동조차 파악할 수 없었다. 진입로 양옆에는 100미터가 넘는 구간에 가림막이 이어졌고 출입 시에는 엑스레이 짐 검사와 이중 신체 검색이 이뤄졌다. 로비 유리창도 모두 차단막으로 가려져 외부 시야가 완전히 차단된 상태였다. 호텔 관계자는 "직원들조차 시 주석을 직접 볼 수 없었다"며 "호텔 내에서도 다른 사람과 마주치지 않도록 동선이 사전에 철저히 조정됐다"고 전했다. 실제 한국 경찰과 중국 경호 인력 등 약 100여 명이 호텔 내부 곳곳에 배치돼 24시간 경계 태세를 유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오롱호텔[사진=코오롱 호텔·리조트] mkyo@newspim.com 2025-11-02 10:59
사진
엔비디아, 한국에 초대형 'AI 팩토리' [경주=뉴스핌] 서영욱 기자 = 엔비디아가 한국을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 파트너로 지목하며 차세대 '블랙웰(Blackwell)'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 개를 투입한다. 한국 정부와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네이버클라우드 등과 함께 초대형 'AI 팩토리'를 구축해 세계 최대 규모의 AI 인프라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이번 협력은 반도체·모빌리티·클라우드 전 영역에 걸친 '주권형 AI'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엔비디아의 AI GPU '블랙웰' [사진=엔비디아] 엔비디아는 31일 한국 정부,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네이버클라우드 등과 손잡고 총 26만 개의 차세대 '블랙웰(Blackwell)'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기반으로 한 초대형 AI 팩토리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앞서 전날인 지난 30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최고경영자 회의(APEC CEO 서밋) 특별 세션에 앞서 미디어 프리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사실을 알렸다.  한국 정부는 주권형 AI 개발 가속화를 위해 최대 5만 개 GPU를 도입하며, 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도 각각 최대 5만 개를 구축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 개 블랙웰 GPU를 확보한다. 이 다섯 조직(정부 + 4개 기업)을 합하면 총 26만 개 규모다. 이로써 한국 내 AI GPU 인프라는 기존 6만5000개 수준에서 30만 개 이상으로 급증한다. 엔비디아는 "이번 협력이 한국이 세계적인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AI 팩토리는 전 산업혁명기의 전기처럼 새로운 시대를 이끌 개념으로, 엔비디아는 더 이상 단순한 칩 회사가 아닌 글로벌 AI 인프라 기업"이라고 강조했다. AI 팩토리는 GPU와 연결망(interconnect), 소프트웨어, 네트워킹, 데이터센터 아키텍처를 통합한 '지능 생산 공장(Intelligence Factory)'으로, 국가별 주권형 AI의 기반이 된다. AI 팩토리 구축 일정은 각 파트너사의 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엔비디아 측은 "구체적 배치 시점은 각 기업이 직접 확인해 주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며 "AI 분야에서 한국 정부의 야심찬 리더십을 긴밀히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력 수급 문제에 대해서도 "정부와 협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협력의 핵심은 한국형 주권 AI 모델 개발이다. 엔비디아는 한국 정부와 함께 '주권형 AI 기반모델(Sovereign AI Foundation Model)' 구축을 지원한다. 현지 개발자들과 협력해 엔비디아의 오픈모델 플랫폼 '네모트론(Nemotron)'과 자체 데이터셋을 결합한 한국어 기반 멀티모달 모델을 개발한다. 이 모델은 한국형 AI 서비스·에이전트뿐 아니라 일반 대중이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 엔비디아는 "각국 정부와 기업이 독립적인 AI 인프라를 자국 내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최신 칩과 가속 컴퓨팅 풀스택을 공급하고, 모델 구축 사례를 공유하며, '네모트론' 모델과 칩셋을 함께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GPU는 GB200뿐 아니라 RTX 6000 시리즈도 포함된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3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 K-POP 광장에서 열린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 참석해 있다. 2025.10.30 choipix16@newspim.com 칩 생산 일정과 공급 계획과 관련해 엔비디아는 "GPU 제조는 다수의 부품과 공정이 필요한 만큼 시간이 걸리지만, AI를 활용해 생산 계획을 최적화하고 있다"며 "기업들이 조기에 수요를 공유하면 GPU 배정(allocation) 모델을 통해 공급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5만 개 GPU 규모의 AI 팩토리를 통해 반도체 공정 수율 개선과 디지털 트윈·로봇 개발에 나선다. SK그룹은 반도체 연구와 생산, 산업 클라우드 혁신을 추진하며, 현대차그룹은 5000개 블랙웰 GPU로 자율주행·스마트팩토리·로봇 AI 시스템을 개발한다. 특히 한국 정부와 약 30억 달러(약 4조 원)를 공동 투자해 '피지컬 AI(물리적 인공지능)' 생태계를 확대한다. 또한 엔비디아는 통신 분야에서 삼성전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연세대학교와 함께 'AI 네이티브 6G'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GPU 연산을 기지국 엣지로 옮겨 저전력·고성능 무선망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배터리 효율 향상과 실시간 AI 서비스를 지원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는 '한강' 슈퍼컴퓨터 기반의 양자컴퓨팅 공동연구를 진행하며, '쿠라큐(CuQuantum)' 플랫폼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양자연산과 연구자 교육도 병행한다. syu@newspim.com 2025-10-31 15:0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