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1/17 중국증시종합] 디지털경제株 강세 주도, 상승 마감

기사입력 : 2022년01월17일 17:15

최종수정 : 2022년01월17일 17:15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상하이 0.58%↑, 선전·창업판 1%대 상승
과창판50지수 2% 가까이 상승
디지털화폐·빅데이터 등 디지털경제 테마 강세
상하이·선전 거래액 12거래일째 1조 위안선

상하이종합지수 3541.67 (+20.41, +0.58%)

선전성분지수 14363.57 (+213.00, +1.51%)

창업판지수 3170.41 (+51.00, +1.63%)

과창판50지수 1338.32 (+26.03, +1.98%)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17일 중국 A주 3대 지수가 상승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58% 오른 3541.67포인트를 기록했다. 선전성분지수는 1.51% 상승한 14363.57포인트로, 창업판지수도 1.63% 오른 3170.41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금일 중국의 2021년도 경제성장률이 발표된 가운데, 작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8.1%에 달해 당초 목표치인 '6% 이상'을 크게 상회한 것이 증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절을 앞두고 2900억 위안의 유동성을 순공급했다는 소식도 나왔다. 17일 인민은행은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와 7일물 역(逆)환매조건부채권(역RP, 역레포) 공개시장 조작을 통해 각각 7000억 위안과 1000억 위안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이날 만기에 도래한 MLF 물량이 5000억 위안, 역레포 물량이 100억 위안으로 총 2900억 위안의 자금을 순공급한 셈이다.

정책 금리인 MLF금리도 2.95%에서 2.85%로 10bp(0.1%) 인하했다. 시장에서는 예상보다 공격적인 유동성 투입을 단행했으며 긍정적인 신호라는 평가가 제기됐다.

[그래픽=텐센트증권] 1월 17일 상하이종합지수 주가 추이.

과창판(과학창업판·科創板) 시장을 대표하는 스타(STAR)50지수도 전 거래일 대비 1.98% 뛴 1338.32포인트로 장을 마감했다.

[그래픽=텐센트증권] 1월 17일 과창판50지수 주가 추이.

상하이와 선전 양대 증시 거래액은 1조 1197억 위안으로 작년 12월 30일부터 12거래일 연속 1조 위안을 돌파했다.

해외자금은 유입세가 우위를 점했다. 이날 북향자금(北向資金·홍콩을 통한 A주 투자금)은 17억 600만 위안의 순매수를 기록했다. 후구퉁(滬股通, 홍콩·외국인 투자자의 상하이 증시 투자)을 통한 거래는 3억 2300만 위안의 순매수를, 선구퉁(深股通, 홍콩·외국인 투자자의 선전 증시 투자)을 통한 거래는 13억 8300만 위안의 순매수를 기록했다.

디지털화폐, 스마트 행정 서비스, 빅데이터, 데이터 센터 등 디지털경제 관련 테마가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며 강세를 주도했다.

디지털화폐 테마주 가운데 초천용(楚天龍·003040), 신개보전자(新開普·300248), 금재호련(金財互聯·002530), 무업통신(中嘉博創·000889), 박언과기(博彥科技·002649), 북방정보기술(京北方·002987) 등 다수 종목이 줄줄이 상한가로 거래를 마쳤다.

수자정통과기(數字政通·300075), 랑조소프트웨어(浪潮軟件·600756) 등이 상한가를 찍는 등 스마트 행정 서비스 테마주를 비롯해 연화지능(延華智能·002178), 화사홀딩스(華斯股份·002494) 등이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빅데이터 테마주도 상승 마감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16일 디지털 경제의 건강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발표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해당 방안을 통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디지털 경제를 위한 신형 기반시설 구축에 속도를 내고 전통 산업의 디지털화 구조전환, 디지털 기술과 실물경제의 융합을 촉진하는 등의 내용을 강조했다.

앞서 중국 국무원이 '14차 5개년(2021~2025년) 디지털경제 발전 계획(이하 계획)'을 발표한 것도 해당 섹터에 계속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개원증권(開源證券)은 당국의 계획은 △ 디지털 인프라 건설 △ 산업인터넷 △ 인터넷 보안 △ 디지털 행정 서비스 등 여러 분야를 포괄한다며 컴퓨터 관련 섹터의 직접적인 수혜를 예상했다. 구체적으로는 △ 산업인터넷 △ 금융IT △ 스마트 커넥티드카 △ 에너지IT △ 방위산업의 메타버스 활용 △ 의료IT △ 인터넷 보안 등 분야에 주목할 것을 조언했다.

리튬배터리 섹터의 상승세도 눈에 띄었다. 대표적으로 입중사통경합금(立中集團·300428)이 13% 이상, 창신신소재(恩捷股份·002812)가 7% 이상, 덕방납미(德方納米·300769)가 4% 가까이 급등 마감했고 배터리 업계 대장주인 닝더스다이(CATL·300750)가 5% 넘게 오른 606.85위안으로 거래를 마쳤다.

닝더스다이가 오는 18일 EVOGO 배터리 교체 브랜드 발표회를 개최할 것이라는 소식이 해당 섹터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이를 닝더스다이가 본격적으로 '자동차와 배터리를 분리'하는 배터리 교체 시장에 진출했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전기차 배터리 교체란 매번 전기를 충전해서 쓰는 방식이 아닌, 미리 충전해둔 배터리로 교체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최근 중국 다수 부처에서 친환경차 배터리 교체 시범사업을 적극 추진 중으로 상업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2025년 중국의 전기차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이 9000개 이상으로 확대되고, 신규 배터리 교체 설비 수요가 120억 위안(약 2조 2470억 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아울러 배터리 핵심 소재인 탄산리튬 가격이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다는 소식도 해당 섹터 주가 상승을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 중국 철강 정보 제공 플랫폼 상해강련(上海鋼聯)에 따르면, 17일 배터리용 탄산리튬 평균 가격은 톤(t)당 4200위안 오른 t당 34만 5500위안으로 치솟았다.

이외에도 석유 수요가 계속 공급을 초과할 것이라는 전망에 석유 섹터가 상승세를 나타냈고 로컬소프트웨어, 메타버스 섹터를 비롯한 코로나19 치료제 테마주 등도 상승 흐름을 보였다.

반면 수산물, 의료보건, 코로나19 진단검사 등 섹터는 약세를 연출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송미령 "美 쌀 수입 쿼터 조정 불가능"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8일 미국산 쌀 수입 쿼터 조정 가능성에 대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송미령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해 '미국이 요구하면 수입 쌀 쿼터를 우리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는지' 묻는 강명구 국민의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앞서 조현 외교부 장관은 외통위 국감에 출석해 쌀 수입과 관련해 국가별 쿼터를 늘릴 수 있다는 취지로 발언한 바 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14 yooksa@newspim.com 이에 강 의원은 "정부에서 지금까지 쌀과 소고기 농축산물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시장 개방이 전혀 없다고 계속 얘기해 오는데 이상하게 외교부 장관은 또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며 "대미 협상팀으로부터 쌀 쿼터가 조정될 수 있다는 논의를 들은 적 있냐"고 물었다. 송 장관은 "국가별 쿼터는 저희 마음대로 조정할 수 없다"며 "쌀과 소고기는 처음부터 레드라인(한계선)이라고 강력하게 이야기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협상 과정에서 농식품부가 패싱된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전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중국으로 수출이 막힌 미국산 대두를 한국이 추가 수입할 가능성이 있냐는 질의에는 "미·중 간 이야기에서 아마 추측을 한 것 아닌가"싶다며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외교부 장관과 관련된 얘기가 꽤 있는데 이번 관세 협상에서 쌀 추가 개방은 없다는 건 명확한 것이냐"고 질의했다. 이에 송 장관은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여러 얘기를 했을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의제로 채택되지 않았고, 공식적인 협의에서는 논의가 안 된 걸로 알고 있다"며 "쌀 추가 개방이 없다는 이재명 정부의 원칙이 유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plum@newspim.com 2025-10-28 12:05
사진
북한, 어제 서해상 순항미사일 도발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이 28일 해상에서 함대지 순항미사일을 시험 발사하는 도발을 감행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9일 미사일총국의 발표를 인용해 이같이 전하면서 "함상 발사용으로 개량된 순항미사일들은 수직 발사돼 서해 해상 상공의 설정된 궤도를 따라 7800초(2시간 10분) 간 비행해 표적을 소멸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이 28일 서해상에서 함대지 순항미사일 도발을 한 사실을 알리면서 29일 공개한 사진. [사진=조선중앙통신] 2025.10.29 yjlee@newspim.com 국무위원장 김정은은 참관하지 않았고 북한군 최고 간부 중 하나인 박전청 노동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겸 비서인 박정천과 김정식 당 제1부부장, 장창하 미사일 총국장 등이 현장을 지켜본 것으로 중앙통신은 전했다. 이번 도발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경주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을 방문하면서 김정은과 만나겠다는 의사를 강력하게 밝히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김정은은 지난 24일 6.25참전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묘'를 방문한 이후 나흘째 공개활동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관영 매체들도 트럼프의 제안에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와 군 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 상황을 평양 선전매체들의 보도가 나올때까지 공개하지 않았다. 미사일 도발을 참관한 박정천은 "전쟁억제 수단들의 적용 공간을 부단히 확대해나갈 데 대한 당 중앙의 전략적 기도대로 우리 핵 무력을 실용화하는 데서 중요한 성과들이 이룩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국가수반(김정은을 지칭)은 이미 강력한 공격력으로써 담보되는 억제력이 가장 완성된 전쟁 억제력이고 방위력이라고 정의했다"면서 "우리는 자기의 전투력을 끊임없이 갱신해나가야 하며 특히 핵 전투태세를 부단히 벼리는 것은 우리의 책임적인 사명이고 본분"이라고 말했다. 박정천은 5000톤급 신형 구축함인 최현호와 강건호의 운용훈련과 무기체계 강습실태를 살펴본 것으로 중앙통신은 덧붙였다. yjlee@newspim.com 2025-10-29 06:5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