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기가 인프라 구축에 2020년까지 13조원 투자"
[뉴스핌=김신정 기자] 대한민국 통신 130주년을 맞은 KT가 정보통신기술(ICT)융합기술 선도와 지능형 기가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황창규 KT회장은 23일 서울 KT광화문 빌딩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산업간 경계도, 국경도 무너지는 혁명적 변화의 시기를 맞아 ICT중심으로 대한민국의 미래 130년을 이끌어 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에 따라 KT는 지능형 기가 인프라 구축에 오는 2020년까지 13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 5년안에 ICT기술을 기반으로 한 융합형 서비스에서 매출 5조원과 해외매출 2조원을 달성하겠다는 포부도 드러냈다.
황 회장은 "지금 전 세계가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ICT와 산업간 융합에 주목하고 있다"며 "네트워크에 기반한 ICT의 융합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KT는 ICT와 산업간 융합으로 모든 산업과 생활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KT는 ICT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기가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계획과 함께 최첨단 관제와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지능형 기가 인프라와 미래성장 사업에 2020년까지 13조원을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황 회장은 또 "미래 인프라는 속도와 용량, 연결을 뛰어넘는 가치를 가져야 한다"고 말한 뒤 KT가 개발한 휴대형 보안 플랫폼 '위즈 스틱'(Wiz Stick)과 기가오피스 (GiGAOffice), 전용 LTE(Private LTE) 등을 자세히 설명했다.
파밍 사이트 접속과 웹캠 해킹과 같은 문제를 원천 차단해 주는 위즈스틱은 올해 연말 상용화할 예정이다. 암호화된 안전문자와 도청이 불가능한 기업 맞춤형 모바일 인트라넷 전용LTE는 현재 현대중공업에 이어 포스코도 곧 도입할 예정이다. 향후 대기업 뿐 아니라 학교와 산업단지 등에 적용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네트워크 관제와 클라우드 역량이 집약된 기가 오피스는 500개 이상의 기업이 사용하고 있으며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황 회장은 현재 시행하고 있는 스마트에너지 사업 등의 KT의 미래융합 서비스에 대한 설명도 곁들였다. 황 회장은 이와 관련, "KT가 복합에너지 효율화 솔루션 KT-MEG(Micro Energy Grid)을 최초 개발했는데 이 기술을 호텔과 공장, 레포츠 사업장 등으로 확대해 2020년까지 1조 6000억원의 매출을 올리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KT는 글로벌 기가토피아 실현을 위해 벤처, 중소기업, K-Champ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경기창조혁신센터를 국내 창조기업의 글로벌 진출 허브와 ICT융합기술 발전의 메카가 되도록 적극 협조할 계획이다.
또 오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이러한 융합형 서비스들을 전 세계에 선보여 대한민국이 글로벌 ICT산업을 주도하는 계기로 만들겠다는 각오도 드러냈다.
황 회장은 "지능형 기가 인프라 구축과 ICT 융합기술은 대한민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국민들이 보다 안락하고 편리한 생활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김신정 기자(aza@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