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리드 왕세자 참석, 비즈니스 회의 열려
첨단산업·에너지·방산 협력 논의
K-푸드·콘텐츠 협력 확대 의지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인공지능(AI)과 K-콘텐츠를 아우르는 한·아랍에미레이트(UAE) 협력의 장이 열렸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9일 아부다비 에미레이트 팰리스 호텔에서 한-UAE 비즈니스 회의를 열었다. 회의는 이재명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 일정에 맞춰 마련됐다. 현장에는 양국 정부와 기업인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칼리드 왕세자가 직접 자리한 고위급 경제 협력의 장이었다. 양국은 인프라 건설 협력으로 기반을 다져왔다. 이날 논의로 인공지능(AI)과 첨단산업은 물론 K-콘텐츠와 식품으로 협력 폭을 넓힐 계기가 생겼다.
![]() |
| 류진 한경협 회장과 압둘라 사이프 알 누아이미 주한UAE 대사가 아부다비 에미레이트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한-UAE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환담을 나누고 있다. 이번 회의는 이재명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 기간 중에 마련되었으며, 양국 정부·기업인 약 50여명이 참석해 AI·첨단산업 등은 물론, K-pop과 K-푸드 등 소프트파워 분야로 협력을 확대하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했다. [사진=한경협] |
UAE에서는 국부펀드 무바달라를 비롯한 주요 기관이 참석했다. 아부다비 국영원자력공사와 국방산업지주회사가 자리했다. 신재생에너지 회사 아메아파워와 유통회사 루루그룹도 함께했다. 칼둔 알 무바라크 무바달라 대표와 알 스와이디 투자부 장관 등 UAE 핵심 인사도 직접 의지를 밝혔다.
한국에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참석했다. 김동관 한화 부회장과 유영상 SK수펙스추구위원회 AI위원장이 자리했다. 조주완 LG전자 대표와 조석 HD현대 부회장도 참석했다.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부회장과 허용수 GS에너지 사장이 참석했고 김동철 한전 사장도 자리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신익현 LIG넥스원 사장도 함께했다.
K-컬처와 식품의 영향력이 커진 점을 고려해 이석준 CJ 부회장과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도 참석했다. 노타와 해주E&C 등 기술기업도 참여했다.
류진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양국 협력의 저력을 강조했다. 그는 두 나라가 개척 과정에서 비슷한 경험을 쌓았다는 점을 언급했다. 에너지와 인프라, 방위 산업 협력에서 신뢰가 형성됐다고 평가했다. AI를 미래 협력의 중심축으로 제시하며 공동 혁신 허브 구축을 제안했다. 청정에너지와 K-콘텐츠, 식품 분야의 확대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한 손으로는 박수를 칠 수 없다"라는 아랍 속담을 인용해 공동 번영을 당부했다.
![]() |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류진 한경협 회장, 정의선 현대차 그룹 회장이 아부다비 에미레이트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한-UAE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환담을 나누고 있다. 이번 회의는 이재명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 기간 중에 마련되었으며, 양국 정부·기업인 약 50여명이 참석해 AI·첨단산업 등은 물론, K-pop과 K-푸드 등 소프트파워 분야로 협력을 확대하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했다. [사진=한경협] |
회의는 첨단산업과 방산·에너지·인프라, 문화 분야로 나뉘어 진행됐다. 첨단산업 논의에는 삼성과 현대차, LG전자, SK, 네이버가 참여했다. UAE 측에서는 무바달라와 프리사이트, 허브71, 내셔널펄스그룹이 자리했다. 양국은 데이터와 AI, 스마트시티 분야의 협력 가능성을 검토했다. SK는 UAE를 중동의 핵심 파트너로 규정하며 새로운 동반자 모델을 제시했다. 노타는 AI 기반 교통 관리 체계 구축 방안을 설명했다.
방산과 에너지·인프라 분야에서는 GS에너지가 청정수소와 저탄소 암모니아 협력 방향을 밝혔다. 한전은 바라카 원전 경험을 바탕으로 전력 사업 협력 의지를 밝혔다. UAE의 아부다비 국영석유공사와 방산 기관도 참여해 안보 기술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문화 분야에서 CJ는 지난 2016년 아부다비 KCON 사례를 소개했다. 콘텐츠와 식품 유통 협력 확대 계획을 제시했다. 삼양식품은 현지 맞춤형 제품 개발과 체험 콘텐츠 확대를 설명했다. 할랄 인증 공급망 계획도 제시했다. UAE에서는 루루그룹과 사르야 홀딩스가 참석해 식품과 소비재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syu@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