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 정부가 태평양 미나미토리시마(南鳥島) 인근 심해에서 희토류 개발에 나선다. 내년 1월에는 수심 6천m 해저에서 희토류를 포함한 진흙을 채취하는 실증 실험을 실시할 예정이며, 미국과의 공동 추진 방안도 검토 중이다.
6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는 이날 참의원 본회의에서 "핵심광물 확보는 일본뿐 아니라 미국에도 전략적으로 중요한 과제"라며 "구체적인 협력 방식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실험은 일본 정부가 추진해 온 자원 자립 전략의 일환이다. 일본은 2012년 미나미토리시마 주변 해역에서 고농도의 희토류가 포함된 진흙층을 발견했으며, 당시 조사에서는 매장량이 약 680만t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일본의 연간 희토류 소비량(약 2만t)을 감안할 때 수백 년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일본은 당초 올해 1분기 중 실험을 시작할 계획이었지만, 해저 진흙을 빨아올리는 장비의 조달이 늦어지면서 일정이 약 1년 연기됐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달 28일 도쿄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미일 핵심광물 및 희토류 확보 프레임워크'에 서명했다.
양국은 핵심광물의 안정적 공급망 구축을 목표로 금융 지원, 무역 조치, 비축제도 활용 등 정책 수단을 동원하기로 했다. 또한 채굴·정제 부문 투자 촉진을 위해 보조금, 대출, 지분 투자 등 공공·민간 자금을 투입하기로 합의했다.
일본 정부는 미나미토리시마가 자국의 배타적경제수역(EEZ) 안에 있는 만큼, 심해 자원 개발을 통해 중국 의존도가 높은 희토류 공급망을 다변화하겠다는 방침이다.
![]() |
|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사진=로이터 뉴스핌] |
goldendog@newspim.com














